'이명박 재산' 의혹이 잇따르는 가운데 보수 메이저신문들이 4일 일제히 이명박 후보의 '무대응'을 비판하며 직접 해명을 압박하고 나섰다.
한나라당 지지층의 여론 형성에 영향력이 큰 이들 매체의 비판적 시각은 '이명박 대세론'이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한 증거로 풀이돼, 이 후보의 향후 대응이 주목된다.
<조선일보> "이명박 직접 해명해야"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는 4일자 사설을 통해 최근 <경향><한겨레> 등이 잇따라 제기하고 있는 이명박 재산 의혹의 자료 입수 경위에 대해 '정부 개입' 의혹을 강하게 제기하면서도 동시에 이명박 후보에 대해서도 현재의 '무대응' 방식을 질타했다.
<조선일보>는 이날 두개의 사설을 통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조선>은 우선 '국가관리 개인정보 불법유출 범인 찾아내야'란 사설을 통해서는 최근 잇따르는 이명박 관련 의혹 제기를 '빅 브라더' 작품으로 규정한 뒤 철저한 진상 조사를 촉구했다.
<조선>은 이어 또다른 사설 '이명박 후보와 공직자의 이해충돌'을 통해서는 최근 잇따라 제기된 처남 김재정씨의 67만평 부동산 보유, 이 후보의 건물 두채가 있는 서초구 법조단지 고도제한 해제, 이명박 후보 일가 땅이 있는 은평구 진관외동의 뉴타운 지정 등을 거론하며 이 후보의 대응방식을 꾸짖었다.
<조선>은 서초구 고도제한 해제와 관련, "고도제한이 불합리해서 감사원과 국민고충처리위원회가 시정을 권고했다면 고도제한을 완화할 수 있다. 이 후보 건물이 그곳에 있다 해서 하지 못한다면 다른 시민들의 피해가 발생했을 것"이라며 "그러나 이 후보는 사전에 서울시의회 등에 이해충돌 사실을 보고하고 양해를 구하는 절차를 거치는 것이 공직자로서 올바른 처신이었다. 그 건물을 사전에 매각할 수도 있었다"고 당시 이 후보의 대응을 비판했다.
<조선>은 이어 "뉴타운 지정 문제도 마찬가지다. 액수가 적다고 문제가 아닌 것이 아니다"라며 "대통령이 되겠다는 사람으로서 입장 표명이 있어야 한다"고 이명박 후보의 직접 해명을 촉구했다.
<조선>은 이와 별도로 이날 신경무 화백의 '조선만평'을 통해 '간디식 무대응'을 천명하고 평소 법정스님의 <무소유>를 애독한다는 이 후보가 간디와 법정스님과 사과하는 모습을 그려, 우회적으로 이 후보를 비꼬기도 했다.
신경무 화백의 4일자 '조선만평' ⓒ조선일보
<동아일보>도 해명 촉구, <중앙일보>는 만평으로 '이명박 위기론'
<동아일보>는 이날 '이명박 씨 부동산 의혹 제기경위와 실체적 진실'이라는 사설을 통해 전반부에서는 이명박 관련 자료의 유출 의혹을 제기하고, 후반부에서는 이명박 후보의 대응을 질타했다.
<동아>는 특히 후반부에서 "이 씨 측의 대응 방식에도 문제가 있다"며 "지금까지 이 씨와 처남 김재정 씨, 맏형 이상은 씨 및 일가붙이들이 관련된 부동산 의혹이 6건이나 제기됐지만 명쾌하게 해명된 것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동아>는 이어 "작은 의혹이라도 일단 제기됐으면 어느 부분이 사실이고 어느 부분은 사실과 다른지 소상히 밝혀야 한다"며 "해명할 것은 해명하고 사과할 일이 있으면 진솔하게 사과하는 게 국민의 이해를 구하는 길"이라고 조언했다.
<동아>는 "'“근거 없는 의혹 제기'라고 일축하거나 '정권 차원의 정치공작'이라고 반박하면서 대충 얼버무리는 것은 검증 회피로 비칠 수 있다"며 거듭 이 후보의 직접 해명을 촉구했다.
<중앙일보>는 이날 관련 사설을 쓰지는 않았으나 김상택 화백이 만평을 통해 계속 터지는 지뢰(의혹)로 크게 당황한 이명박계 의원들이 "줄 잘못 섰다"며 당황해하는 모습을 그려, 우회적으로 이 후보에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