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美전문가 “부시, 6자회담 판 깰 생각 없다"

“재무-국무간 이견 결국 부시가 최종 매듭지을 것”

북핵문제가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자금 송금 문제로 꼬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북한과의 타협을 통해 동북아시아 정세를 안정시키겠다는 정책방침을 고수하고 있다는 미국내 외교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지난 90년대 북한과의 핵협상에 직접 참여했던 개리 새모어 미국 외교협회(CFR) 부회장은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와의 인터뷰에서 “방코델타아시아 은행이 앞으로 불법행위에 연루되지 않도록 더욱 주의하겠다는 의지를 담은 조치를 취한다면, 미국 재무부도 이 은행에 대한 제재를 임시 중단할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게만 된다면 북한이 방코델타아시아 은행 자금을 돌려받고, 적어도 당분간은 이 은행과 거래를 계속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대신 미국 재무부는 일정 기간 동안 방코델타아시아 은행을 주시하면서 약속을 제대로 지키는지 확인할 것”이라며 “방코델타아시아 은행의 주인까지 바뀔 필요는 없고, 경영진 교체가 좀 있지 않을까 싶다. 거듭 말하지만 중요한 건 앞으로 불법자금을 절대 취급하지 못하도록 하는 조치가 이뤄지느냐다”라고 말했다.

그는 BDA 문제가 풀리지 않는 이유에 대해 “미국 행정부 안에서 부처간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이라며 "재무부는 불법자금을 취급한 금융기관과 개인을 단속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는 반면에, 국무부는 북한의 핵무기 계획을 억제하는 외교적 노력에 더 관심이 있다”고 전했다.

그는 “부시 대통령 입장에서는 국무부와 재무부 사이에 끼어들기보다는 두 부처가 알아서 해결해주기를 바랄 것이나, 이 문제는 결국 부시 대통령이 최종적으로 매듭져야 할 사안으로 북한의 핵무기 계획을 억제하는 것이 미국의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문제라는 판단이 내려진다면 그에 걸맞는 결론이 내려질 것”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향후전망과 관련해선 “북한이 돈을 먼저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는데, 미국이 이를 이유로 6자회담 합의를 깰 생각은 없는 것 같다"며 "북한과의 타협을 통해 동북아시아 정세를 안정시키겠다는 부시 대통령의 생각은 여전히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고 낙관적인 전망을 제시했다.

새모어 부회장은 맥아더재단,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등에서 군축문제 및 세계지역안보를 다뤄온 군사외교전문가로, 90년대 미 국무부에 근무하면서 북한과의 제네바협상을 지휘한 로버트 갈루치 대사(현 조지타운대 교수)를 보좌해 북핵문제를 처리했으며, 현재는 북한, 이란, 이라크의 군사안보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개리 새모어 미국 외교협회(CFR) 부회장 ⓒ CFR
김홍국 기자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5 8
    퍼져라

    그럼 부시가 쌀 퍼주겠군
    한국이 퍼줄돈으론 스커드나 사라.
    슨상이 좋아한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