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극화 해결 목표, 신자유주의 극복에 둬야"
[경제정의포럼] "부동산투기 방치 등 참여정부 경제정책 낙제점"
최근 양극화가 내수부진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현재 참여정부가 진행중인 가계대출 급증, 부동산투기 방치 등 경제정책이 크게 잘못됐다는 직설적인 비판이 제기됐다.
경실련 정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홍종학 경원대 교수는 1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경제정의포럼 ‘양극화, 진단과 처방’에서 “양극화 논의는 경제성장의 질을 분석하고 경제정책에 대해 새로운 평가를 할 수 있는 계기가 전제돼야 하며 일부에서 논의하는 것처럼 성장률 저하가 양극화의 원인인지에 대해 실증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교수는 이어 “이같은 측면에서 분석해볼 때 인위적 저금리, 가계대출 급증, 환율조작, 부동산 투기 방치, 균형발전 명목의 개발 붐 조성, 세금 감면 등 현 정부 경제정책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제사 볼 때 누진세.규제완화가 양극화의 핵심 원인"
홍 교수는 세계화를 양극화의 한 원인으로 보는 견해에 대해 “세계화는 우리나라만 겪는 현상이 아니고 또한 21세기만의 현상이 아니라면 경제사적 교훈을 되짚어 보아야 한다”며 “각국 소득분배 추이 분석 결과 50-70년대 미국, 유럽, 일본의 높은 성장률에도 분배상황은 안정적이었으나, 80년대 이후에는 성장이 상대적으로 빠른 미국, 영국, 캐나다에서 분배 악화된 예를 볼 때 기술 진보보다는 누진세나 규제완화가 양극화의 더 큰 원인일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홍교수는 또 내수부진을 양극화의 원인으로 꼽는 최근 분석에 대해 “오히려 양극화가 내수부진의 원인이며, 90년대 이전의 불균형 성장이 이른바 ‘흘러내림’(트리클다운.Trickle-down, 대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면 덩달아 중소기업과 소비자에게도 혜택이 돌아가 총체적으로 경기를 활성화시키게 된다는 경제이론)효과에 의해 소득불균등을 완화시켰다”고 지적했다.
홍교수는 이어 "그 이후 구조적 변화가 발생해 이같은 러내림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면 단순히 성장이 양극화를 완화시킨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ㅣ있다"고 주장했다.
홍교수는 "양극화가 구조적인 문제이므로 대책 역시 구조적인 것이어야 한다"면서 “경제적 약자 보호 제도가 완비된 하에서의 공정한 경쟁제도 확립, 적극적 동반성장 정책, 패자부활전의 활성화, 소득재분배 및 복지제도 개선 등의 경제구조개혁을 근본 해결책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양극화 해결 목표는 신자유주의 극복에 둬야"
이어 토론에 나선 민주노동당 심상정 의원은 “정부정책이 오히려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경제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홍교수의 발제에 공감한다”면서 “양극화 해결 목표는 건전한 시장경제의 구축보다는 신자유주의의 극복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원동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은 “외환위기 이후 경제구조변화로 소득 불평등이 확대됐으며 이로 인한 양극화가 사회통합성을 저해하는 등 그 폐해가 심각한데도 이에 대응하는 제도적 기반은 아직 미흡하다”며 “참여정부가 시장원칙에 입각한 시스템 개혁, 대외개방 가속화, 중소기업 및 서비스업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저출산ㆍ고령화 대응, 사회안전망 강화, 부동산 시장 안정기조 확립, 국가균형 발전 등 분배와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동반성장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정부정책을 설명했다.
이태수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원장은 “양극화의 원인으로 해외자본의 압력, 대내 경제구조의 취약성,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을 들 수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복지정책(Workfare) ▲사회안전망(Welfare) ▲인적자본향상(Learnfare)으로 대표되는 ‘3-페어(fares)' 정책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허찬국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장은 “구조적 측면보다는 성장부진을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이며, 따라서 양극화 현상에 대한 과도한 정부개입 및 복지지출을 경계하고 성장을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경실련 정책위원장을 맡고 있는 홍종학 경원대 교수는 19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경제정의포럼 ‘양극화, 진단과 처방’에서 “양극화 논의는 경제성장의 질을 분석하고 경제정책에 대해 새로운 평가를 할 수 있는 계기가 전제돼야 하며 일부에서 논의하는 것처럼 성장률 저하가 양극화의 원인인지에 대해 실증적 분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교수는 이어 “이같은 측면에서 분석해볼 때 인위적 저금리, 가계대출 급증, 환율조작, 부동산 투기 방치, 균형발전 명목의 개발 붐 조성, 세금 감면 등 현 정부 경제정책은 잘못된 것”이라고 비판했다.
"경제사 볼 때 누진세.규제완화가 양극화의 핵심 원인"
홍 교수는 세계화를 양극화의 한 원인으로 보는 견해에 대해 “세계화는 우리나라만 겪는 현상이 아니고 또한 21세기만의 현상이 아니라면 경제사적 교훈을 되짚어 보아야 한다”며 “각국 소득분배 추이 분석 결과 50-70년대 미국, 유럽, 일본의 높은 성장률에도 분배상황은 안정적이었으나, 80년대 이후에는 성장이 상대적으로 빠른 미국, 영국, 캐나다에서 분배 악화된 예를 볼 때 기술 진보보다는 누진세나 규제완화가 양극화의 더 큰 원인일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홍교수는 또 내수부진을 양극화의 원인으로 꼽는 최근 분석에 대해 “오히려 양극화가 내수부진의 원인이며, 90년대 이전의 불균형 성장이 이른바 ‘흘러내림’(트리클다운.Trickle-down, 대기업의 성장을 촉진하면 덩달아 중소기업과 소비자에게도 혜택이 돌아가 총체적으로 경기를 활성화시키게 된다는 경제이론)효과에 의해 소득불균등을 완화시켰다”고 지적했다.
홍교수는 이어 "그 이후 구조적 변화가 발생해 이같은 러내림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면 단순히 성장이 양극화를 완화시킨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ㅣ있다"고 주장했다.
홍교수는 "양극화가 구조적인 문제이므로 대책 역시 구조적인 것이어야 한다"면서 “경제적 약자 보호 제도가 완비된 하에서의 공정한 경쟁제도 확립, 적극적 동반성장 정책, 패자부활전의 활성화, 소득재분배 및 복지제도 개선 등의 경제구조개혁을 근본 해결책으로 제시한다”고 밝혔다.
"양극화 해결 목표는 신자유주의 극복에 둬야"
이어 토론에 나선 민주노동당 심상정 의원은 “정부정책이 오히려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경제구조개혁이 필요하다는 홍교수의 발제에 공감한다”면서 “양극화 해결 목표는 건전한 시장경제의 구축보다는 신자유주의의 극복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원동 재정경제부 경제정책국장은 “외환위기 이후 경제구조변화로 소득 불평등이 확대됐으며 이로 인한 양극화가 사회통합성을 저해하는 등 그 폐해가 심각한데도 이에 대응하는 제도적 기반은 아직 미흡하다”며 “참여정부가 시장원칙에 입각한 시스템 개혁, 대외개방 가속화, 중소기업 및 서비스업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저출산ㆍ고령화 대응, 사회안전망 강화, 부동산 시장 안정기조 확립, 국가균형 발전 등 분배와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동반성장 전략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정부정책을 설명했다.
이태수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원장은 “양극화의 원인으로 해외자본의 압력, 대내 경제구조의 취약성,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을 들 수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한 복지정책(Workfare) ▲사회안전망(Welfare) ▲인적자본향상(Learnfare)으로 대표되는 ‘3-페어(fares)' 정책을 제안했다.
이에 대해 허찬국 한국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장은 “구조적 측면보다는 성장부진을 양극화의 근본적인 원인이며, 따라서 양극화 현상에 대한 과도한 정부개입 및 복지지출을 경계하고 성장을 통해 이를 해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