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사드 배치시 대중국 외교에 심각한 균열"
“자칫 막대한 군사비용만 부담할 수도"
더불어민주당은 30일 박근혜 정부가 사드 한국배치를 허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데 대해 “동북아 안보 상황에 새로운 긴장을 조성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성수 더민주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사드의 한반도 배치가 한미 양국정부의 공식 발표만 남았을 뿐 기정 사실화됐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이에 대해 중국은 신중하게 처리하라고 경고하고 나섰다”며 “우리 당은 그동안 한반도 배치에 대해 충분한 여론 수렴과 신중한 판단을 강력히 요구해 왔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아무런 설명도 없이 태도를 돌변해 사드 배치를 공식화하려들고 중국의 반발을 초래한 것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대중국 외교에 심각한 균열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아울러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칫 막대한 군사비용만 부담할 수도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며 “지금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북한 핵실험을 기회삼아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서둘러서는 안 된다”며 신중한 접근을 거듭 촉구했다.
김성수 더민주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사드의 한반도 배치가 한미 양국정부의 공식 발표만 남았을 뿐 기정 사실화됐다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이에 대해 중국은 신중하게 처리하라고 경고하고 나섰다”며 “우리 당은 그동안 한반도 배치에 대해 충분한 여론 수렴과 신중한 판단을 강력히 요구해 왔다. 그런 점에서 정부가 아무런 설명도 없이 태도를 돌변해 사드 배치를 공식화하려들고 중국의 반발을 초래한 것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대중국 외교에 심각한 균열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어 “아울러 사드의 군사적 효용성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칫 막대한 군사비용만 부담할 수도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며 “지금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는 북한 핵실험을 기회삼아 사드의 한반도 배치를 서둘러서는 안 된다”며 신중한 접근을 거듭 촉구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