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해외생산법인 수익성 '글쎄'
해외법인 평균영업이익률 5.5% 불과, 국내 6.1%보다 낮아
국내 제조업체의 해외생산법인이 수익성 면에서 국내 제조업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고, 일부 기업들은 적자를 내는 등 기업들의 해외진출의 수익성이 기대치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해외진출기업 27.8%는 작년에 영업손실까지 기록
대한상공회의소는 25일 해외에 생산거점을 둔 국내기업 3백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기업의 해외 생산거점 운영실태와 향후 계획'에 대한 조사결과, 작년 해외 생산법인의 평균영업이익률(추정치)은 5.5%로, 국내 제조업의 평균영업이익률 6.1%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27.8%는 작년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실적이 좋지 않았으며, 특히 미국과 유럽에 진출한 생산법인의 영업이익률은 각각 1.43%, 2.67%에 그쳤다.
국내 평균이익률에도 못 미치는 기업의 비중이 미국 65%, 유럽 80%로, 선진국에 진출한 기업일수록 수익성이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베트남의 경우 진출기업의 평균영업이익률이 지난 2005년 7.77%에 이어 작년 7.13%를 기록, 비교대상국들 가운데 가장 높았다. 국내 평균을 상회하는 기업 비중이 66.7%로, 수익성이 가장 양호한 생산거점 진출국으로 부각됐다.
평균매출액증가율에서는 작년 해외 생산법인의 평균매출액증가율은 10.6%로, 국내 제조업의 6.6%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돼 성장성 면에서는 해외 생산법인이 국내 법인들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다.
국가별로는 멕시코(17.5%), 미국(11.9%), 중국(11.1%) 등이 높은 매출액증가율을 보인 반면 베트남(8.2%)과 유럽(8.4%) 진출법인의 매출액증가율은 저조했다.
기업들은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해외법인의 수익성이 국내보다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와 해외의 경영여건을 비교하는 질문에 대해 '해외 생산여건이 우위에 있다'(61.1%)는 답이 '국내 여건이 우위에 있다'(10.4%)거나 '비슷하다’(28.5%)고 밝혀 해외 생산여건이 더 나은 것으로 평가했다.
미국을 제외한 대다수 국가의 진출기업들이 꼽은 현지생산의 핵심 우위요인은 임금경쟁력이었고, 노동력 확보, 마케팅 및 판로확보, 자재부품조달 등도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반면 미국과 유럽 진출기업들은 마케팅 및 판로확보를 1순위로 지목했다.
상의 관계자는 "해외진출 기업의 채산성이 국내보다 낮은 만큼, 기업들은 단순히 어려운 여건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정부도 국내 투자에 따른 인센티브와 메리트가 확보되도록 투자환경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해외진출기업 27.8%는 작년에 영업손실까지 기록
대한상공회의소는 25일 해외에 생산거점을 둔 국내기업 3백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국내 기업의 해외 생산거점 운영실태와 향후 계획'에 대한 조사결과, 작년 해외 생산법인의 평균영업이익률(추정치)은 5.5%로, 국내 제조업의 평균영업이익률 6.1%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27.8%는 작년 영업손실을 기록하는 등 실적이 좋지 않았으며, 특히 미국과 유럽에 진출한 생산법인의 영업이익률은 각각 1.43%, 2.67%에 그쳤다.
국내 평균이익률에도 못 미치는 기업의 비중이 미국 65%, 유럽 80%로, 선진국에 진출한 기업일수록 수익성이 부진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베트남의 경우 진출기업의 평균영업이익률이 지난 2005년 7.77%에 이어 작년 7.13%를 기록, 비교대상국들 가운데 가장 높았다. 국내 평균을 상회하는 기업 비중이 66.7%로, 수익성이 가장 양호한 생산거점 진출국으로 부각됐다.
평균매출액증가율에서는 작년 해외 생산법인의 평균매출액증가율은 10.6%로, 국내 제조업의 6.6%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돼 성장성 면에서는 해외 생산법인이 국내 법인들보다 좋은 평가를 받았다.
국가별로는 멕시코(17.5%), 미국(11.9%), 중국(11.1%) 등이 높은 매출액증가율을 보인 반면 베트남(8.2%)과 유럽(8.4%) 진출법인의 매출액증가율은 저조했다.
기업들은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 해외법인의 수익성이 국내보다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와 해외의 경영여건을 비교하는 질문에 대해 '해외 생산여건이 우위에 있다'(61.1%)는 답이 '국내 여건이 우위에 있다'(10.4%)거나 '비슷하다’(28.5%)고 밝혀 해외 생산여건이 더 나은 것으로 평가했다.
미국을 제외한 대다수 국가의 진출기업들이 꼽은 현지생산의 핵심 우위요인은 임금경쟁력이었고, 노동력 확보, 마케팅 및 판로확보, 자재부품조달 등도 주요 요인으로 지목됐다. 반면 미국과 유럽 진출기업들은 마케팅 및 판로확보를 1순위로 지목했다.
상의 관계자는 "해외진출 기업의 채산성이 국내보다 낮은 만큼, 기업들은 단순히 어려운 여건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정부도 국내 투자에 따른 인센티브와 메리트가 확보되도록 투자환경를 개선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