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정부, 중국 반발에도 댜오위다오 국유화 완료
300억원 동원해 3개 무인도 매입 종료
일본 정부가 11일 중국 정부의 영해기선 선포에도 불구하고 댜오위다오(일본명 센카쿠 열도) 국유화 절차를 종료했다.
일본 정부는 전날 센카쿠 열도의 5개 무인도 가운데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3개 섬을 국유화하기로 한 데 이어 이날 예비비 20억5천만엔(약 300억원)을 동원해 섬 소유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일본 정부가 사들인 섬은 센카쿠 열도의 5개 무인도 가운데 우오쓰리시마(魚釣島), 미나미코지마(南小島), 기타코지마(北小島)이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센카쿠를 평온하고 안정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경비를 지출하기로 했다"며 "센카쿠의 취득과 유지는 일본 영토 일부의 토지 소유권을 전 소유자로부터 국가로 이전한 것으로, 타국(중국)과의 사이에 문제를 야기한 것이 아니다"라고 중국의 반발을 일축했다.
하지만 중국은 전날 댜오위다오에 대해 영해기선을 선포한 데 이어 이날 두척의 순시선을 댜오위다오 근접 해역으로 파견해 순시 활동에 들어가, 일본과의 물리적 충돌도 예상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전날 센카쿠 열도의 5개 무인도 가운데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3개 섬을 국유화하기로 한 데 이어 이날 예비비 20억5천만엔(약 300억원)을 동원해 섬 소유자와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일본 정부가 사들인 섬은 센카쿠 열도의 5개 무인도 가운데 우오쓰리시마(魚釣島), 미나미코지마(南小島), 기타코지마(北小島)이다.
후지무라 오사무(藤村修) 관방장관은 기자회견에서 "센카쿠를 평온하고 안정적으로 유지·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경비를 지출하기로 했다"며 "센카쿠의 취득과 유지는 일본 영토 일부의 토지 소유권을 전 소유자로부터 국가로 이전한 것으로, 타국(중국)과의 사이에 문제를 야기한 것이 아니다"라고 중국의 반발을 일축했다.
하지만 중국은 전날 댜오위다오에 대해 영해기선을 선포한 데 이어 이날 두척의 순시선을 댜오위다오 근접 해역으로 파견해 순시 활동에 들어가, 일본과의 물리적 충돌도 예상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