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이탈리아도 수개월내에 구제금융 가능성"

오스트리아 재무장관 발언에 이탈리아 주가 폭락-금리 폭등

재정위기에 직면한 PIGS 5개국 가운데 유일하게 구제금융을 신청하지 않은 이탈리아도 수개월내에 구제금융을 신청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공식적으로 제기되면서, 이탈리아 주가가 폭락하고 국채금리는 폭등하는 등 불안이 재연되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오스트리아의 마리아 펙터 재무장관은 이날 자국 TV와의 인터뷰에서 이탈리아의 수개월내 구제금융 신청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이탈리아는 매우 높은 수준의 적자와 채무는 경제적 딜레마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며 "물론 탈출할 수 있겠지만, 이탈리아가 이미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데 높은 금리를 지불하고있는 것을 생각하면 지원을 받지 않을 수 없게 될 가능성도 있다"고 답했다.

그는 또한 "이탈리아가 경제를 확실히 하고있어 스스로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이탈리아가 구제를 필요하게 되면 그 규모는 유럽연합(EU)의 안전망으로는 담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유럽경제 규모 4위의 스페인에 이미 구제금융을 지원하기로 한 마당에 3위의 이탈리아까지 손을 벌리고 나서면 유럽연합은 더이상 지원할 여력이 없어져 유럽도 통제불능의 동반위기에 빠져들 수 있다는 우려를 드러낸 셈.

이탈리아 구제금융 신청 가능성이 공개리에 제기되면서 이탈리아 주가는 폭락하고 국채금리는 폭등하는 등 시장이 민감하게 반영했다.

이탈리아 FTSEMIB지수는 이날 전일보다 374.71포인트(-2.79%) 폭락한 13,070.75로 11일 거래를 마감했다. 특히 이탈리아 최대 은행 유니크레딧의 주가는 8.81%나 폭락하며 최근 5개월 사이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이탈리아 국채금리도 다시 급등, 10년물 국채가 전일보다 26bp 오른 6.0432%를 기록했다.

이탈리아의 국가부채는 스페인보다 심각하다. 현재 이탈리아의 국가 부채는 2조유로(2천923조원)로 GDP 대비 부채비율은 120.1%에 달해 그리스, 일본에 이어 선진국 중 세 번째로 높다. 베를루스코니 정권 16년동안 방만한 국정운영을 해온 결과다.

하지만 금융·실물경제는 스페인보다 양호하다. 우선 이탈리아에는 스페인과 달리 부동산거품이 거의 없어 은행들의 건전성이 양호하다. 베를루스코니가 국정을 엉망으로 이끌었으나 철저하게 독립성이 보장된 중앙은행 총재가 건실한 통화정책을 펴온 결과다. 또한 이탈리아 북부의 제조업 기지도 국제적 경쟁력을 확보, 독일 못지않게 튼실하다. 이탈리아는 이미 GDP 대비 3%내로 재정적자를 줄였으며, 이탈리아의 실업률은 10.4%(4월)로 스페인의 24%의 절반도 안된다.

이렇듯 이탈리아 경제에는 빛과 그림자가 있다. 문제는 '심리'다. 시장에서 "컵에 아직 물이 반이나 남아있다"고 긍정평가하면 위기로 발전하지 않겠지만, "컵에 물이 반밖에 안남았다"는 쪽으로 공포가 확산되면 통제불능 상태에 빠져들게 된다.

우려되는 것은 유럽 정세가 점점 예측불허의 혼란상태로 빠져들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스의 급진진보연합(시리자)은 11일 유럽의 스페인 구제금융과 관련, "그동안 우리의 주장이 정당했음이 입증됐다"며 유럽연합에 대해 스페인과 동일한 수준의 긴축 완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스페인과의 차별대우에 분개하는 그리스 국민을 의식해 우파세력들까지 재협상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오는 17일 그리스 2차 총선 결과에 상관없이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는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는 분위기다.

그리스뿐이 아니다. 이미 키프로스가 구제금융을 희망하고 나섰고 중부·동부 유럽 곳곳에서도 위기 징후가 감지되고 있다. 자칫 위기가 유럽의 약한 고리 전역으로 확산되는 '데킬라 효과'가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현재 유럽의 유일한 해결사는 독일이다. 그러나 메르켈 총리의 정치적 위상이 급속 약화되고 있다. 이미 올 들어 지방선거 등에서 속속 패배하고 있는 데다가 내년에는 총선이 기다리고 있다. 독일국민들은 밑빠진 독에 물붓기식인 지원을 왜 독일이 전담해야 하느냐고 반발하고 있다.

'정치적 리더십의 붕괴'가 가뜩이나 취약한 유럽경제를 더욱 위기로 몰아넣고 있는 간단치 않은 상황 전개다.
박태견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5 개 있습니다.

  • 2 0
    걱정마라

    한국에는 희대의 글로벌 갱제 전문가 쥐바기가 갱제 학시리 살리고 있다. 물과 전기가 조금 모자르쥐만 주님에 대한 기도로 극복하좌...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2 0
    ㅎㅎㅎ

    밑에// 아프리카 무시하남? 아프리카 부족민들이 얼마나 현명한데..
    일부 찌질한 독재자들과 티비에 나오는 기아에 허덕이며 고통받는 아프리카인 이미지가 아프리카의 전부가 아님.

  • 0 0
    아아앙

    푸른환경//아프리카 국민수준보다 못한 한국이 타국 국민수준을 탔하다뇨. ㅎㅎ

  • 2 0
    푸른환경

    국민수준이 낮으니 저런 꼴을

  • 14 0
    블레이드가이

    명박아.. 스페인에 이어 이탈리아까지 구제금융 받는단다.
    근데 4대강 지류에 또 15조를 때려 붓겠다?
    이거 완전 미틴넘 아닌가?

  • 7 0
    청담동며느리

    1997년 외환위기의 책임 모면과 완화를 위해 각종 유언비어를 생산했던 신한국당 후예 한나라당, 그리고 새머리당은 뭐 느끼는 거 없냐. 삼성의 시장지배를 마치 김대중과 노통이 악의 씨를 뿌린 것으로 인용하는 자들, 삼성자동차 문제에 대해 정치권이나 재계나 반성이 없다. 그때 김영삼이 지껄인 말을 할매가 하고 있더라.

  • 4 1
    이유야

    전쟁의 위협과 정치적 불안을 없앨려고 경제적 통합을 한건데...
    안타깝다
    이 난국을 좀 버텨줬으면 좋겠는데

  • 0 9
    ㅋㅋ

    어떻게 외신 중에서도 이렇게 부정적인 기사만 골라서 올 수가 있는지 대단하십니다. 2008년 이후로 물 만나셨내요. 그래도 우리나라는 안 망해요.

  • 5 1
    ㅋㅋㅋ

    미국은 퍼줄돈이 없어

  • 1 3
    경제학박사

    애초부터 불가능한 것을 한 것이 문제다.
    정치적 통합없이 유로단일화폐를 쓰면 그게 유지되겠나?
    이게 미국과의 차이다.
    그리스부터 빨리 퇴출시켜야 했는데 그러지 못하고 미적거린 것이 화를 더 키웠다.
    금년 한해도 주식하는사람들 골치 좀 아프겠다.

  • 1 1
    닥치고승리

    6.12 언론사 파업 국민일보 노동조합 2011.12.23부터 173일째. MBC 노동조합 2012.1.30부터 135일째. 연합뉴스 노동조합 2012.3.15부터 90일째. YTN 단계적 파업.매력이넘치는되징 용민꽃오바트위터에서

  • 5 1
    깨지면안돼에

    이러다 유럽연합 깨지면 안되는데.....

  • 10 0
    지마

    정치인 문제보다 금융 특히 미국 금융인들이 전세계를 지옥으로 가는 시한폭탄에 불을 붙였지 막을 방법은 없지

  • 19 0
    이태리는

    여긴 진짜 정치가 한 놈이 나라를 저 꼬라지로 만들어 놨네
    은행도 건실하고, 부동산 거품도 없고, 제조업도 괜찮은 편인데..
    그나마 중앙은행의 철저한 독립성 보장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일
    베를루스코니를 16년이나 집권케한 국민들도 책임이 있지 뭐

  • 1 6
    마적단두목

    진작 퍼중이를 키우지 ㅋㅋ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