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변호사협회의 엄삼익 공보이사(58)가 2일 부장검사의 여기자들 성추행에 대해 “부장검사의 여기자 성추행 사건은 정권 말 무너진 공직기강을 단적으로 드러낸 것이며, 권력에 유착해 편히 취재하려는 언론의 일탈된 행동으로 보인다”며 양비론을 펴 파문이 일고 있다.
변협 대변인격인 엄상익 공보이사는 이날 논평자료를 통해 “우리는 먼저 왜 검찰이 언론인과 한계를 넘어가는 술자리를 만들고 여기자들 또한 그런 자리에 응해서 수모를 당하는지 의문”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엄 이사는 이어 “검사는 누구보다도 높은 청렴성과 품위와 인격을 갖출 것을 세상은 요구한다. 또한 기자는 중립적이고 고고한 입장에서 권력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해야 언론의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며 “향후 검찰과 언론의 적절치 못한 술자리 모임과 악습들이 없어지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엄 이사의 논평 발표 뒤 여성계와 언론계가 강력 반발하는 등 파문이 일자 변협은 문제 논평이 엄 이사의 개인 의견일뿐 변협과는 무관하다며 파문 진화에 부심했다.
여기자들과 검사들과의 공식적인 술자리 회식이라?? 권언 유착을 위한 단합대회로 보여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것이 과연 존재해야할 회식 자리일까? 돈은 누가 낼까? 여기자들이???무엇을 바라고 여기자들은 남성 검사들과 술자리 회식을 갖은 것일까?권언 단합???여기자협회는 이러한 단합대회로 보여지는 회식에 대한 공식입장을 밝혀야 한다.
관행적인 공식적인 술자리 회식인지 어떤 것인지 알 수 없지만 감시자의 입장에 서야할 기자들이 피감시자와 함께 단합 대회처럼 느껴질 수 있는 공식적으로 당당하게 술자리를 갖는다는 것은 한국 사회가 뿌리부터 썩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다.기자들간의 회식에 우연히 검사가 끼게 되고 성추행을 당했다면 모를까?
성추행이란 사건 때문에 국민들은 이런 자리가 있다는 것을 안 것이고 성추행 자체도 나쁘지만 이런 자리가 있다는 것 자체는 더욱 비난 받을 일이다.만일 재벌들과 기자의 공식 술자리 회식이 있거나 또는 청와대와 기자들간에 공식적인 술자리 회식이 있다면 국민들이 언론을 어떤 시각으로 볼까?
썩은 언론인들이 스스로 권력의 시녀가 되서 자신의 안위를 위해서 기사를 만드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잘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남자도 아닌 여자가 기자가 술접대를 받으면서 권력에 손을 먼저 내민 행동은 용서받긴 어려운 행동이다. 검사의 성추행도 용서받지 못할 행동이지만 .그러한 정황이 나온 현실은 한국 언론계가 얼마나 썩었는지를 잘보여준다.
당연한 문제제기다 그기자나 언론도 문제다 물론 취재의 일부라고 할 수 있겠으나 야심한 시간에 취재원인 검사들과 객관적인 고나계를 유지해야 할 기자들이 만나서 술마시고 노래방 가고 그러다가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우리나라만의 문화라고 치부하기엔 문제가 많다 이것을 지적받아 마땅하다 그런식의 취재원관의 관계 유지는 정말 바람직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