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대통령은 정조 아닌 광해군"
김덕수 교수 "국민들 중엔 盧대통령보다 똑똑한 사람 많아"
리더십 연구 전문가인 김덕수 공주교대 교수가 노무현 대통령의 '다변'을 비판하며 " 노 대통령, 비단 옷을 입고 밤길을 혼자가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 교수는 23일 오전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장성민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리더들은 많이 듣고 적게 말해야 하는데 우리나라 리더들은 너무 말을 많이 한다. 하느님이 입을 하나 주고 귀를 두개 주신 의미를 잘 새겨들어야 한다"며 "노 대통령이 말을 많이 하는 것은 변호사 출신이라 그런 것 같다"고 노대통령의 '다변'을 문제삼았다.
김 교수는 이어 "그런데 노 대통령이 말을 많이 하는 그 속에는 마치 조선시대 왕이 백성들에게 하교를 내리는 인상을 많이 받는다"며 "국민들 중에는 노대통령보다 똑똑한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말을 많이 하고 싶어도 말을 아끼는 것이 성공한 대통령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노대통령은 깨달아야 한다"며 "정치인이 말을 많이 하면 실수를 하게 되고 그러면 그것을 기자들이 가만 안 놔두게 된다. 그러면 소란이 일어나게 되니까 꼭 필요한 말만 하고 나머지는 신중한 자세를 보여주었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노대통령의 탈권위주의와 관련, "노 대통령의 탈권위주의에 나도 찬성하고 그래서 나도 노 대통령을 지지했던 사람"이라며 "그러나 탈권위주의가 너무 빠르고 국민적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있다. 자기 혼자 간 것"이라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로 인해 국민적 갈등과 사회적 분열이 초래됐다. 국민과 함께 가지 못하면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노대통령이 지금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그래서 나는 노 대통령이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혼자 갔다'는 표현을 쓴다. 비단옷이 아무리 좋아도 밤길을 가면 볼 수 없지 않은가? 낮에 가면 아주 좋았을 것이고 국민들이 훌륭한 대통령이라고 박수치고 따라 줄텐데 좋은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니까 알아주는 사람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노 대통령 자신은, 정조를 말하는데 나는 정조와 노대통령은 별로 연관성이 없다고 본다"며 "좀 결례가 될지 몰라도 광해군 정도로 보면 어떨까 생각된다 . 광해군은 뜻은 좋았지만 국민들 공감을 얻지 못했다. 그래서 왕에서 내려오는 비운을 겪어야 했다. 정조 대왕과 노무현 대통령을 비교하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23일 오전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장성민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리더들은 많이 듣고 적게 말해야 하는데 우리나라 리더들은 너무 말을 많이 한다. 하느님이 입을 하나 주고 귀를 두개 주신 의미를 잘 새겨들어야 한다"며 "노 대통령이 말을 많이 하는 것은 변호사 출신이라 그런 것 같다"고 노대통령의 '다변'을 문제삼았다.
김 교수는 이어 "그런데 노 대통령이 말을 많이 하는 그 속에는 마치 조선시대 왕이 백성들에게 하교를 내리는 인상을 많이 받는다"며 "국민들 중에는 노대통령보다 똑똑한 사람들이 더 많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는 "말을 많이 하고 싶어도 말을 아끼는 것이 성공한 대통령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노대통령은 깨달아야 한다"며 "정치인이 말을 많이 하면 실수를 하게 되고 그러면 그것을 기자들이 가만 안 놔두게 된다. 그러면 소란이 일어나게 되니까 꼭 필요한 말만 하고 나머지는 신중한 자세를 보여주었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김 교수는 노대통령의 탈권위주의와 관련, "노 대통령의 탈권위주의에 나도 찬성하고 그래서 나도 노 대통령을 지지했던 사람"이라며 "그러나 탈권위주의가 너무 빠르고 국민적 공감대를 얻지 못하고 있다. 자기 혼자 간 것"이라고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로 인해 국민적 갈등과 사회적 분열이 초래됐다. 국민과 함께 가지 못하면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을 노대통령이 지금 역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며 "그래서 나는 노 대통령이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혼자 갔다'는 표현을 쓴다. 비단옷이 아무리 좋아도 밤길을 가면 볼 수 없지 않은가? 낮에 가면 아주 좋았을 것이고 국민들이 훌륭한 대통령이라고 박수치고 따라 줄텐데 좋은 비단옷을 입고 밤길을 가니까 알아주는 사람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노 대통령 자신은, 정조를 말하는데 나는 정조와 노대통령은 별로 연관성이 없다고 본다"며 "좀 결례가 될지 몰라도 광해군 정도로 보면 어떨까 생각된다 . 광해군은 뜻은 좋았지만 국민들 공감을 얻지 못했다. 그래서 왕에서 내려오는 비운을 겪어야 했다. 정조 대왕과 노무현 대통령을 비교하는 것은 인정할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