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채무 10년뒤 '신용위기', 40년뒤 '파산' 수준
출산율 1%로 높여잡아도 40년뒤 GDP 대비 국가부채비율 156%
그보다 앞서 10년 뒤에는 비(非)기축통화국의 상한선으로 여겨지는 60%선을 넘어 70%를 돌파하면서 신용등급 위기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됐다.
기획재정부는 3일 이같은 내용의 '제3차 장기재정전망'(2025~2065)을 발표했다. 이는 국가재정법에 의거해 5년마다 발표해야 하는 수치로, 지난 2015년과 2020년에 이어 이번이 세번째 발표다.
기재부는 인구(중위) 및 성장(중립) 시나리오를 중간값으로 한 2065년 GDP 대비 국가채무비율은 156.3%로 추계했다.
이는 현재 0.65명인 합계출산율이 2065년에는 1.08명이 높아질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에 기초한 것이다. 생산연령인구는 1864만명(현재 3591만명), 고령화율은 46.6%(현재 20.3%)로 가정했다.
중간값에 해당하는 기준 시나리오 결과(156.3%)는 한국개발연구원(KDI·2060년 144.8%) 전망보다는 높고, 국회 예산정책처(2072년 173.0%) 전망보다는 낮은 수치다.
그러나 비관적 인구 시나리오(합계출산율 0.82명, 생산연령인구 1575만명, 고령화율 49.1%)에서는 이 비율이 169.6%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국회 예산정책처 전망과 비슷한 수치다.

이처럼 재정이 급속 악화되는 것은 저출산고령화로 저출산으로 세수는 거의 늘지 않고 고령화로 세출은 크게 늘기 때문이다.
GDP 대비 총수입 비율은 2025년 24.2%에서 2065년 24.1%로 크게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같은 기간 총지출 비율은 26.5%에서 34.7%로 크게 상승한다.
특히 사회보험 지출증가 및 기초연금 확대 등으로 의무지출 비중은 13.7%에서 23.3%로 커지는 반면, 재량지출은 12.8%에서 11.5%로 오히려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