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유가족 '영결식장 입장 제한' 논란
軍당국 "장소가 좁아서", 야당 "아직도 정신 못차려"
28일 <뉴시스>에 따르면, 군은 2함대사령부 안보공원내 영결식장에 2천200여 석을 마련하고 가족들에게 1천400석을 배정한 뒤 3분의 1이 넘는 800석을 외부 인사들에게 배려할 계획인 것으로 28일 전해졌다.
이 자리에는 정부부처 주요 인사와 국방부·합참 지휘부, 역대 참모총장, 국무위원, 국회의원, 지방자치단체장, 보훈단체장, 예비역 원로 등이 앉을 예정이다.
군은 이와 관련, 27일 오후 가족대표 46명에게 가족 당 30명만 영결식장에 입장할 수 있다고 통보한 뒤 참석자들의 인적사항을 모두 제출하도록 했다. 군은 영결식장에 들어가지 못한 가족들을 위해서는 체육관 분향소 내에 대형 스크린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일부 유족들은 "영결식에 유가족을 제한하는 황당한 일이 어디 있느냐"며 3시간이 넘게 군 관계자들에게 강하게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유족은 "초청 인사를 줄이라고 했더니 군이 무조건 안 된다고 했다"면서 "그나마 협의를 하고 한 것이 30명"이라고 혀를 찼다. 또 다른 유족은 "유가족만 80명이 넘는데 어떻게 영결식장 가는 가족을 별도로 뽑느냐"며 "가족들에게 영결식 때는 오지 말고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진행되는 안장식에 맞춰 대전으로 오라고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군 관계자는 "장소가 협소해 부득이 인원을 줄일 수밖에 없었다"면서 "대신 체육관 분향소에서 스크린을 통해 영결식을 지켜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고 <뉴시스>는 전했다.
이처럼 군은 유가족 제한 이유를 장소의 협소성 때문이라고 해명했으나, 일각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이날 영결식에 참여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에 따른 보안상 이유 때문이 아니냐는 해석을 낳고 있다.
야당들은 즉각 이를 문제삼고 나왔다.
진보신당의 이지안 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하루 아침에 가족을 잃고 아직도 사건의 원인조차 규명되지 않은 억울함과 원통함에 땅을 칠 유족들이 영결식 출입이 제한되다니, 어이가 없는 일"이라며 "더욱이 그 이유가 정부부처 주요인사 등 외부인사 초청 때문이라니, 군은 이번 영결식을 무슨 국경일 기념행사 정도로 생각하는지 묻고 싶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번 사건 과정을 통해 국민의 불신을 자초한 해군이 아직도 정신을 못 차렸나 보다"라며 "유가족의 자리가 모자라면 국방부장관부터, 해군 참모총장부터 자리를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