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 부재'가 자초한 김근태의 침몰
재계 "김근태 때문에 될 것도 안됐다", '8.15 특사 쇼크'로 절대위기
"공식발표가 나야 입장을 발표하겠지만 잘 아시는 것처럼 당은 경제회생과 국민통합을 위해서 경제인 사면을 건의한 바 있고, 그 건의가 받아들여져서 지금 사면이 구체적으로 결정되어 나가는 것 같다."(오전 10시10분)
"대통령의 사면권은 고유권한이기 때문에 존중한다. 향후에 좋은 기회가 있다면 경제활성화와 회생을 위해서 경제인들에게 관용을 베풀어주시길 당부한 것으로 이해해주시길 바란다."(오전 11시40분)
우상호 열린우리당 대변인이 11일 8.15 특별사면복권 발표가 있기 전후에 한 말이다. 사면복권 발표가 있었던 것은 이날 오전 11시30분.
우 대변인의 서로 다른 두 발언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열린우리당은 노무현 대통령에게 세게 한방 먹었다. 특히 김근태 당의장의 타격이 크다. 그가 '뉴딜'을 주장하며 재계에게 여러 차례 약속했고, 노대통령에게 건의했던 재벌총수 사면이 완전 묵살당했기 때문이다.
재계 "김근태 때문에 될 것도 안됐다"
이번 조치로 김근태 당의장이 받은 타격은 거의 치명적이다. 한 예로 8.15 특사 내용을 접한 재계 반응은 한마디로 "김근태 때문에 될 것도 안됐다"는 것이다. 재벌총수들의 사면복권에 대한 재계의 바람이 컸던 만큼 김 의장에게 쏠리는 비난의 목소리도 그만큼 크다.
A그룹의 임원은 "노대통령과 정면 격돌하면서 노대통령에게 재벌총수 사면을 요구하는 모순된 행동을 하니 대통령이 이를 들어줄 리 있겠냐"며 김 의장의 '전략 부재'를 질타했다. 그는 "재벌총수 사면복권은 대통령이 재계에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이자 재계와의 화해책"이라며 "그런데 김 의장 말대로 사면복권을 해주면 그 공이 고스란히 김 의장에게 돌아갈 텐데 노대통령이 그런 바보짓을 할 리 있겠냐"고 덧붙였다.
그는 "김 의장이 물러난 뒤면 몰라도 김 의장이 당을 맡고 있는 한 재벌총수 사면복권을 물 건너간 것 같다"고 김 의장에게 원망을 쏟아냈다.
B그룹 구조본의 한 임원은 "김 의장이 연일 재계를 찾아다니며 재계와의 빅딜 등을 얘기했으나, 솔직히 말해 여간 부담스러웠던 게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은 퇴임 전날까지 기업들에겐 치명상을 안겨줄 수 있을 만큼 절대권력의 소유자"라며 "이런 절대권력과 정면 대립하고 있는 김 의장과 만나 그를 돕겠다는 약속을 할 수 있겠는지 어디 한번 생각해 보라"고 말했다.
그는 "여태까지는 경제단체장들을 만나자 했으니 할 수 없이 만났지만 김 의장이 다음으로 만나고 싶어하는 재계 총수들이 이에 응할 가능성은 거의 전무하다"며 "총수들 사이에 당분간 외유라도 떠나야 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돌 정도"라고 전했다.
'전략 부재'가 초래한 김근태 도박의 침몰
재계 반응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김 의장이 야심적으로 추진해온 이른바 '뉴딜'은 노 대통령의 8.15 특사를 통해 사실상 무력화됐다. 재계가 이렇듯 냉소적 반응을 보이는 마당에 김 의장이 다음번으로 만날 노동계도 김 의장이 주장하는 '노-사-정 대타협'에 응할 가능성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김 의장은 주변의 '정체성' 비난에도 불구하고 서민경제 살리기를 명분으로 큰 배팅을 도모했다. 하지만 노대통령의 반격으로, 김 의장은 결과적으로 그동안 그의 자산이었던 '개혁' 이미지마저 손상 당한 채 뒷전으로 밀려날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게 됐다.
열린우리당 안팎에선 이번 사태와 관련, 김 의장의 '전략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많다. '우향우' 노선을 택한 것 자체가 치명적 자충수라는 지적이다. 노 대통령과 싸울려 했으면 중산층-서민경제를 붕괴위기에 몰아넣은 노무현 정부의 정책실패를 집중 공격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을 택했어야지, 노대통령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우향우' 노선을 택해선 안됐었다는 지적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김의장은 지난 2004년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 논란때 노대통령에게 '계급장 떼고 붙자'고 했을 때 장관직에서 잘리는 한이 있더라도 붙었어야 했다"며 "당시도 측근들의 반대로 중도후퇴해 대중적 정치인이 될 수 있는 호기를 놓치더니 이번에도 엉성한 전술로 접근하다가 치명적 상처를 입게 됐다"고 김근태 캠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명분도 실리도 잃은 김 의장이 과연 그 어떤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게 당안팎의 지배적 평가다.
"대통령의 사면권은 고유권한이기 때문에 존중한다. 향후에 좋은 기회가 있다면 경제활성화와 회생을 위해서 경제인들에게 관용을 베풀어주시길 당부한 것으로 이해해주시길 바란다."(오전 11시40분)
우상호 열린우리당 대변인이 11일 8.15 특별사면복권 발표가 있기 전후에 한 말이다. 사면복권 발표가 있었던 것은 이날 오전 11시30분.
우 대변인의 서로 다른 두 발언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열린우리당은 노무현 대통령에게 세게 한방 먹었다. 특히 김근태 당의장의 타격이 크다. 그가 '뉴딜'을 주장하며 재계에게 여러 차례 약속했고, 노대통령에게 건의했던 재벌총수 사면이 완전 묵살당했기 때문이다.
재계 "김근태 때문에 될 것도 안됐다"
이번 조치로 김근태 당의장이 받은 타격은 거의 치명적이다. 한 예로 8.15 특사 내용을 접한 재계 반응은 한마디로 "김근태 때문에 될 것도 안됐다"는 것이다. 재벌총수들의 사면복권에 대한 재계의 바람이 컸던 만큼 김 의장에게 쏠리는 비난의 목소리도 그만큼 크다.
A그룹의 임원은 "노대통령과 정면 격돌하면서 노대통령에게 재벌총수 사면을 요구하는 모순된 행동을 하니 대통령이 이를 들어줄 리 있겠냐"며 김 의장의 '전략 부재'를 질타했다. 그는 "재벌총수 사면복권은 대통령이 재계에 줄 수 있는 가장 큰 선물이자 재계와의 화해책"이라며 "그런데 김 의장 말대로 사면복권을 해주면 그 공이 고스란히 김 의장에게 돌아갈 텐데 노대통령이 그런 바보짓을 할 리 있겠냐"고 덧붙였다.
그는 "김 의장이 물러난 뒤면 몰라도 김 의장이 당을 맡고 있는 한 재벌총수 사면복권을 물 건너간 것 같다"고 김 의장에게 원망을 쏟아냈다.
B그룹 구조본의 한 임원은 "김 의장이 연일 재계를 찾아다니며 재계와의 빅딜 등을 얘기했으나, 솔직히 말해 여간 부담스러웠던 게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은 퇴임 전날까지 기업들에겐 치명상을 안겨줄 수 있을 만큼 절대권력의 소유자"라며 "이런 절대권력과 정면 대립하고 있는 김 의장과 만나 그를 돕겠다는 약속을 할 수 있겠는지 어디 한번 생각해 보라"고 말했다.
그는 "여태까지는 경제단체장들을 만나자 했으니 할 수 없이 만났지만 김 의장이 다음으로 만나고 싶어하는 재계 총수들이 이에 응할 가능성은 거의 전무하다"며 "총수들 사이에 당분간 외유라도 떠나야 하는 게 아니냐는 얘기가 나돌 정도"라고 전했다.
'전략 부재'가 초래한 김근태 도박의 침몰
재계 반응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 김 의장이 야심적으로 추진해온 이른바 '뉴딜'은 노 대통령의 8.15 특사를 통해 사실상 무력화됐다. 재계가 이렇듯 냉소적 반응을 보이는 마당에 김 의장이 다음번으로 만날 노동계도 김 의장이 주장하는 '노-사-정 대타협'에 응할 가능성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김 의장은 주변의 '정체성' 비난에도 불구하고 서민경제 살리기를 명분으로 큰 배팅을 도모했다. 하지만 노대통령의 반격으로, 김 의장은 결과적으로 그동안 그의 자산이었던 '개혁' 이미지마저 손상 당한 채 뒷전으로 밀려날 절체절명의 위기를 맞게 됐다.
열린우리당 안팎에선 이번 사태와 관련, 김 의장의 '전략 부재'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많다. '우향우' 노선을 택한 것 자체가 치명적 자충수라는 지적이다. 노 대통령과 싸울려 했으면 중산층-서민경제를 붕괴위기에 몰아넣은 노무현 정부의 정책실패를 집중 공격하며 대안을 제시하는 방식을 택했어야지, 노대통령에게 절대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우향우' 노선을 택해선 안됐었다는 지적이다.
당의 한 관계자는 "김의장은 지난 2004년 아파트 분양원가 공개 논란때 노대통령에게 '계급장 떼고 붙자'고 했을 때 장관직에서 잘리는 한이 있더라도 붙었어야 했다"며 "당시도 측근들의 반대로 중도후퇴해 대중적 정치인이 될 수 있는 호기를 놓치더니 이번에도 엉성한 전술로 접근하다가 치명적 상처를 입게 됐다"고 김근태 캠프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명분도 실리도 잃은 김 의장이 과연 그 어떤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게 당안팎의 지배적 평가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