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경향신문> "<조중동> 밉더라도 폭력은 안된다"

사설 통해 '비폭력 평화 시위' 중요성 강조

<경향신문>이 28일자 사설을 통해 '비폭력 평화 시위'의 중요성을 역설하며, 일부 시위대의 <조중동> 공격 중단을 호소했다.

<경향신문>은 이날자 사설 '비폭력만이 국민의 동의를 얻을 수 있다'를 통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관한 정부의 고시 강행 이후 시위가 격화되면서 우려스러운 양태가 빚어지고 있다"며 "비록 시위대의 일부가 저질렀다고는 하나 경찰차량을 파손하고, 언론사 유리창을 깨뜨리고, 기자를 때리는 등 불미스러운 사태가 일어났기 때문"이라며 27일 새벽 폭력사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사설은 이어 "시위가 과격화 조짐을 보이자 이명박 정권과 보수 언론들은 기다렸다는 듯이 색깔론 공세를 펴며 강경대응에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며 "그러나 일부 폭력성이 있었다 해도 촛불시위의 주류는 여전히 비폭력주의를 견지하고 있음을 간과해선 안된다. 정부·여당이 폭력사태를 빌미로 ‘뼈저린 반성’은커녕 ‘쇠고기 민심’을 일거에 진압하고 정국의 국면 전환을 기도하려 한다면 국민의 절망과 분노는 결코 사그라들지 않을 것"며 보수신문과 정부여당에 대해 경고했다.

사설은 또 시민들에 대해서도 "분노와 폭력은 전혀 별개 문제"라며 "어떤 경우든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는 없다. 조선·중앙·동아일보 등이 쇠고기 문제에 대한 왜곡보도로 국민의 분노를 샀다고 해도 회사 건물에 난입해 기물을 부수고 기자의 취재도구를 빼앗을 때, 항의의 목적은 없어지고 수단의 폭력성만 부각될 뿐"이라고 지적했다.

사설은 "촛불시위는 불도저식으로 밀어붙이기만 하던 이명박 정부를 반성케 하고, 미국을 놀라게 했다. 대통령의 사과와 한반도 대운하 건설계획의 사실상 폐기도 이끌어냈다"며 "그 힘의 원천은 무엇보다 비폭력이다. 평화적 시위라는 전제가 없으면 다수 국민의 참여와 동의를 얻을 수 없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거듭 비폭력 평화시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혜영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38 23
    인민군

    너그 사옥 앞 땅굴로 교도대가 나올까 겁나냐?
    너그들은 필히 아오지를 가야해.
    대남총책 김중린도 갔거든.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