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총선 민심, '盧 심판론' → '이명박 견제론'
[여론조사] 최대변수 '장관인사 파문', 한나라 지지율 급락
서울 총선 최대 변수는 '장관 인사 파문'
29일 <내일신문>에 따르면, 여론조사기관 <디오피니언>에 의뢰해 지난 27일 서울시민 7백명을 상대로 실시한 총선여론조사 결과 4월 총선의 최대 변수를 뭐라고 보느냐는 질문에 가장 많은 42.1%가 '장관 내정자 자격 논란'을 꼽혔다.
이어 노무현 정부 심판론(18.4%), 한나라당 공천 갈등(15.6%),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 합당(10.9%) 순으로 꼽혔다.
안부근 <디오피니언> 소장은 이와 관련, "유권자들의 관심이 대선 시기 '심판론'에서 벗어나 새 정부의 공과로 초점을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승수 총리 후보 검증과 관련해서도 '국정 공백이 있더라도 철저하게 검증해야 한다'(71.9%)는 견해가 '야당의 정치공세 측면이 크므로 조속히 처리해야 한다'(23.9%)보다 압도적으로 높아, 청와대와 한나라당의 '발목잡기' 공세가 별로 호소력을 갖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내각' 논란에 대해선 '재산형성 과정이 적절하고 국정수행능력이 있다면 상관 없다'가 50.9%로, '서민들의 어려움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어 서민을 위한 정책운영이 어려울 것'이라는 44.0%보다 소폭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 또한 '재산형성 과정의 적절성'을 전제로 한 것이어서, 부동산투기 의혹 등을 사는 각료 후보들에 대한 지지로 해석하는 것은 오류다.
한나라 지지율 2주새 11.8%p 급락
정당지지도에서도 서울 민심의 균열조짐이 나타나 2주일전 <내일신문>-<한길리서치> 조사에서 60.4%였던 한나라당 지지도가 11.8%포인트나 폭락한 48.8%로 50%아래로 내려왔고, 통합민주당은 4.2%에서 17.0%로 12.8%포인트나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노동당은 4.0%, 창조한국당 3.1%, 자유선진당 2.4%였으며, 무당층은 23.8%로 집계됐다.
비례대표 선출을 위한 정당투표 지지도도 한나라당 49.2%, 민주당 19.7%로, 2주전에 비해 한나라당은 9.5%포인트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8%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디오피니언>은 "민주당의 지지도 상승은 30대와 자영업자, 화이트칼라층이 움직인 데 따른 것"으로 분석하며 "30대 연령층은 총선결과 전망에서도 한나라당이 과반수를 넘지 못할 것이란 응답률이 28.5%로 가장 높았다"고 전했다.
또한 '이명박 정부에 견제와 균형을 잡아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견제론이 48.8%로 '이명박 정부에 힘을 실어줄 수 있어야 한다'는 안정론(46.5%)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대운하에 대해서도 찬성 36.9%, 반대 53.8%로 반대의견이 많았다.
이번 조사는 신뢰도 95%에 표본오차 ±3.7%포인트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