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특검(조준웅 특별검사)이 19일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을 출국금지시키며 이른바 'X 파일' 사건에 대한 재수사에 돌입, 홍 회장이 검찰에 소환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1997년 9월 안기부(국가정보원 전신)이 이학수 삼성 부회장과 홍석현 회장간 대화를 도청한 'X 파일'에는 홍석현 회장이 모 검사장에게 2천만원을 주겠다고 말하는 등 로비 대상 검사들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특검은 이미 대검을 통해 2005년 검찰의 'X파일' 수사기록과 CD로 된 'X 파일'을 넘겨 받아 정밀 분석을 벌이고 있다. 특검은 전체 녹취록 가운데 '떡값 검사' 부분만을 한정해 자료를 넘겨받았다고 밝혔다.
특검은 이미 홍석현 회장과 함께 X 파일에 이름이 등장하는 전직 검찰간부 등에 대해서도 출국금지를 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김용철 변호사도 조만간 특검에 '떡값 검사' 명단을 제출하겠다고 말해, 특검은 김 변호사가 제출할 명단과 'X파일'에 실명이 나오는 인사들과 대조작업을 벌일 방침이다.
그러나 2005년 X파일 파문 당시 X파일에 이름이 나왔던 검사들은 관련 사실을 전면부인하며, 당시 이들의 이름을 폭로했던 노회찬 민노당 의원에 대해 명예훼손 혐의로 소송을 건 상태다.
홍석현 <중앙일보> 회장이 X파일과 관련, 출국금지돼 귀추가 주목된다. ⓒ연합뉴스 검찰은 이와 함께 홍 회장에 대해 김용철 변호사가 제기한 삼성과 <중앙일보>의 위장분리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중앙일보>는 김 변호사의 의혹 제기후 사고를 통해 '사실무근'이라고 강력 부인한 바 있다.
김 변호사는 그러나 지난 17일 <미디어오늘>과 인터뷰에서 "이건희 회장과 홍석현 사장의 명의신탁계약서를 내가 작성했다"며 "그 계약서는 없앨 수는 없을 것이다. 중앙일보 자체는 모를 수 있겠지만 내게 계약서를 작성토록 지시한 김인주 사장과 홍석현 회장은 알고 있을 것"이라고 거듭 위장분리 의혹을 제기했다.
한편 특검이 홍 회장등 X 파일 관련자들에 대한 출국금지를 추가함에 따라 검찰에서 이미 출금한 30명을 합쳐 출국금지 대상자도 60명으로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