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노당 부산당원들, 또 집단탈당
해운대지역 52명 "민노당 수명 다해"
민주노동당이 대선 패해 이후 정파 갈등을 분당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부산 해운대 지역 당원 52명이 11일 집단 탈당했다. 대선 이후 집단 탈당은 구리시위원회에 이어 두 번째다.
박재석 해운대지역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당원 52명은 이날 오전 지역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 상황이 몇몇 정파 간의 타협으로 결코 치유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민주노동당은 이미 진보정당으로서의 수명을 다하였음을 확인하면서 탈당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2004년 총선에서 원내 제 3당으로 도약한 이후 2007년 대선에 이르기까지 민주노동당이 보여준 모습은 국민들은 물론 당원들조차도 진보정치에 대해 심각한 회의를 품게 만드는 배신행위, 바로 그것이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이른바 종북주의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북핵문제와 일심회 사건 등 자주파의 무비판적인 북한정권 추종 행위는 국민들로 하여금 민주노동당의 정체성을 의심케 하였으며, 당내 선거때만 되면 불거져 나오는 부정투표 의혹과 조직적인 흑색선전, 회계부정 사건 등은 기본적인 당내 민주주의조차 실현하지 못하는 타락한 정치집단의 이미지를 심어주었다”며 자주파를 원색적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이런 당내 모순과 국민의 기대를 담아내지 못하는 무능함은 결국 이번 대선에서 국민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이 모든 사태의 첫 번째 원인은 다수파인 자주파 지도부의 종북적 속성과 패권적 당 운영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평등파를 향해서도 “낡은 정파의 틀에 갇혀 당내 권력에만 매몰되어온 여타 세력들도 결코 책임을 면할 수 없을 것”이라며 “그들은 이제 진보정치의 수구세력이며, 진정한 진보정치의 길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우리는 민주노동당의 역사를 함께 해온 당원으로서 뼈를 깎는 심정으로 국민들께 사과드린다”며 “우리의 탈당은 낡고 병든 구세대 진보정치에 고하는 종언인 동시에 밝고 건강한 다음 세대 진보정치를 향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민노당은 12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구성을 포함한 당 쇄신안 마련에 나선다. 앞서 민노당은 11일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지난 해 12월 29일 중앙위에서 무산됐던 합의안을 다수안으로 채택키로 결의했다.
박재석 해운대지역위원회 부위원장을 비롯한 당원 52명은 이날 오전 지역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 상황이 몇몇 정파 간의 타협으로 결코 치유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민주노동당은 이미 진보정당으로서의 수명을 다하였음을 확인하면서 탈당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2004년 총선에서 원내 제 3당으로 도약한 이후 2007년 대선에 이르기까지 민주노동당이 보여준 모습은 국민들은 물론 당원들조차도 진보정치에 대해 심각한 회의를 품게 만드는 배신행위, 바로 그것이었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이른바 종북주의 논쟁을 불러 일으켰던 북핵문제와 일심회 사건 등 자주파의 무비판적인 북한정권 추종 행위는 국민들로 하여금 민주노동당의 정체성을 의심케 하였으며, 당내 선거때만 되면 불거져 나오는 부정투표 의혹과 조직적인 흑색선전, 회계부정 사건 등은 기본적인 당내 민주주의조차 실현하지 못하는 타락한 정치집단의 이미지를 심어주었다”며 자주파를 원색적으로 비판했다.
이들은 “이런 당내 모순과 국민의 기대를 담아내지 못하는 무능함은 결국 이번 대선에서 국민들로부터 철저하게 외면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며 “이 모든 사태의 첫 번째 원인은 다수파인 자주파 지도부의 종북적 속성과 패권적 당 운영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평등파를 향해서도 “낡은 정파의 틀에 갇혀 당내 권력에만 매몰되어온 여타 세력들도 결코 책임을 면할 수 없을 것”이라며 “그들은 이제 진보정치의 수구세력이며, 진정한 진보정치의 길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우리는 민주노동당의 역사를 함께 해온 당원으로서 뼈를 깎는 심정으로 국민들께 사과드린다”며 “우리의 탈당은 낡고 병든 구세대 진보정치에 고하는 종언인 동시에 밝고 건강한 다음 세대 진보정치를 향한 첫걸음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민노당은 12일 중앙위원회를 열어 비대위 구성을 포함한 당 쇄신안 마련에 나선다. 앞서 민노당은 11일 확대간부회의를 통해 지난 해 12월 29일 중앙위에서 무산됐던 합의안을 다수안으로 채택키로 결의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