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민노당, 민주노총당-친북당으로 비쳤다"

심상정 "인사권 등 전권 줄 때만 비대위원장 수락"

대선 참패로 분당 직전의 극한내홍에 휩싸인 민주노동당의 제 정파로부터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부탁받은 심상정 의원이 27일 "민노당은 민주노총당, 친북당, 경제무능당, 정파담합당이었다"고 통렬한 자성을 한 뒤, "인사권 등 전권을 줄 때만 비대위원장을 수락하겠다"고 밝혔다.

심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대선 참패와 관련, "국민들은 그동안 민주노동당에 대해 거듭 경고를 보내왔다. 민주노총당, 친북당, 경제무능당, 정파담합당 등 당을 향한 국민의 비판이 그것"이라며 "이번 대선에서 국민들은 경고를 거부하는 몸짓에 대해 철퇴를 내린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권영길 후보를 추대한 당내 다수파인 자주파를 겨냥, "다수의 결정이 민주노동당이 추구하는 진보와 배치되고, 국민들에게 외면됨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고집할 때, 그것이 곧 패권이고 그것이 곧 민주노동당 몰락의 길"이라며 "특히 이번 대선 참패는 다수파인 자주파가 주도해 왔던 다수파 패권의 문제임을 인정해야 하고 민주노동당에 대한 국민의 엄중한 심판임을 인정해야 하고 이에 대한 분명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그것이 당 혁신의 출발점"이라고 질타했다.

그는 그러나 이어 "노동조합운동, 통일운동의 제한된 인식, 당내에 갖힌 정파의 담합에 의존하는 정치는 민주노동당을 끊임없이 진보진영내에서조차 고립시키고, 대중으로부터 철의장막을 지닌 정당으로 평가받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며 자주파-평등파간 오랜 파벌싸움을 싸잡아 질타하기도 했다.

그는 자주파와 평등파 양측이 모두 자신을 비대위원장으로 추대한 것과 관련해선 "봉합이나 담합을 위한 비대위는 의미없다. 이 길은 당을 파국으로 몰고가는 길"이라며 "그 임무는 당의 제2창당을 준비하는 각오로 당을 혁신하는 것과, 다가오는 총선을 통해 국민의 재평가를 받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상응하는 비상한 권한과 책임, 그리고 무기가 주어져야 한다"며 비례대표 선임을 비롯한 인사권 등 모든 전권을 자신에게 위임할 것을 요구했다.

그는 그러나 평등파 일각에서 주장하는 분당론에 대해선 "지금 시점에서 분당 거론은 적절치 않다고 본다"며 "지금 시기에는 민노당을 살리는 일에 당원 모두가 모든 노력 다해야 한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이어 "소위 자주파뿐만 아니라 평등파도 문제가 있다는 것 모두 안다"며 "그 문제와 관련 진보정당다운 논쟁과 검증과정 필요하다"며 논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길 희망했다.

심 의원은 이같은 자신의 요구에 대해 29일 중앙위 소집 이전에 답을 줄 것을 요구, 민노당 사태는 28일이 중대고비가 될 전망이다.

다음은 심 의원의 기자회견 모두발언 전문.

심상정 의원 모두발언

우선, 진보를 위해 온 몸을 내던져 온 당원과 지지자, 보다 나은 세상을 위해 민주노동당에 기대와 희망을 보내 준 모든 국민 앞에 송구스럽기 그지 없다.

이번 대선에서 민주노동당은 국민의 냉혹한 평가를 받았다. 이번 대선의 민주노동당 성적표는 한마디로 민주노동당의 존재 가치에 대해 심각하게 회의하고 있음을 반증한다. 국민들이 이명박 당선자를 선택한 것은 참여 정부 실정에 대한 역선택이라 하는데, 이번 대선에서 문국현의 득표는 민주노동당에 대한 역선택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제 스스로 국민에게 민주노동당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를 증명해야 하는 마지막 기회만을 남겨두고 있다고 본다. 말 그대로 당의 존립의 중대한 기로에서 민주노동당 당원 그 누구도 역사적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던져 구당의 길로 나서야 한다.

국민들은 그동안 민주노동당에 대해 거듭 경고를 보내왔다. 민주노총당, 친북당, 경제무능당, 정파담합당 등 당을 향한 국민의 비판이 그것이다. 이번 대선에서 국민들은 경고를 거부하는 몸짓에 대해 철퇴를 내린 것으로 생각한다.

당의 고질적인 문제는 한마디로 진보의 가치와 동떨어진 패권주의와 국민의 경고를 무시하는 주관주의로 집약할 수 있다.

다수가 민주주의의 형식적 기준이라 하더라도, 그 다수의 결정이 민주노동당이 추구하는 진보와 배치되고, 국민들에게 외면됨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고집할 때, 그것이 곧 패권이고 그것이 곧 민주노동당 몰락의 길이다.

특히 이번 대선 참패는 다수파인 자주파가 주도해 왔던 다수파 패권의 문제임을 인정해야 하고 민주노동당에 대한 국민의 엄중한 심판임을 인정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분명한 책임이 뒤따라야 한다. 그것이 당 혁신의 출발점이라고 본다.

둘째는 정당의 목표는 집권이고 노선과 정책으로 국민들의 지지를 모아가는 것이다. 그것은 곧, 국민들로부터 검증의 결과를 겸허하게 반성하고, 끊임없는 자기 혁신의 과정을 통해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노동조합운동과 통일운동의 관성과 인식을 넘어 진보정치의 비전과 프로그램을 벼리는 일에 소홀하고, 국민의 검증보다 정파간의 대립과 담합이 지배해온 결과가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노동조합운동, 통일운동의 제한된 인식, 당내에 갖힌 정파의 담합에 의존하는 정치는 민주노동당을 끊임없이 진보진영내에서조차 고립시키고, 대중으로부터 철의장막을 지닌 정당으로 평가받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현재 당 지도부가 총사퇴하고, 비대위 체제로 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그러나 지도부 사퇴나 비대위체제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비대위는 당의 고질적인 패권주의와 주관주의에 맞서 싸울 수 있어야 하며, 이 점에 대해 어떠한 타협도 있어서는 안된다. 봉합이나 담합을 위한 비대위는 의미없다고 본다. 이 길은 당을 파국으로 몰고가는 길이다.

패권주의와 주관주의라는, 국민들이 지적한 이런 고질적 문제들을 척결을 통해 전면적 혁신을 할 수 있느냐하는 의지가 모아질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비상체제로 간다는 것은 한마디로 민주노동당의 회생의 마지막 결사대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임무는 당의 제2창당을 준비하는 각오로 당을 혁신하는 것과, 다가오는 총선을 통해 국민의 재평가를 받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응하는 비상한 권한과 책임, 그리고 무기가 주어져야 한다.

당의 과거와 기득권이라는 족쇄가 달린 비대위라면, 당의 미래와 명운이 걸린 중대한 시기에 어떠한 혁신과 변화도 이루어내지 못할 것이며, 국민 역시 당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될 것이다.

특히 총선에서 전장에 나설 장수인 비례대표를 선정하는데, 어떤 정파적 기득권으로부터 벗어나 명실상부하게 진보진영의 가치와 가능성을 대표하는 인물들이 전진 배치되어야 우리에게 최소한의 희망이 있다고 생각한다.

29일 중앙위 통해 진로 결정할텐데, 일단 어제 확대간부회의에서 비대위원장 제안을 받았다. 비대위 체제 통해 총제적 권한과 책임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민노당이 반복해온 봉합과 타협의 비대위가 될 것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고, 이것이 저의 선택의 기준이다. 이런 입장을 어제 대표와 총장님께 전달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판단은 모든 지역 당원들이 논의하고 있다. 오늘 계속 진행되는 과정보고 판단할 것이다.

비대위원장 제안은, 당을 구하라는 총대 매라는 제안인데, 당을 살릴 수 없는 조건하에서 비대위 체제를 가져나간다는 것은 당원들에 대한 또다른 기만이다.

당의 전면적 쇄신 의지가 모아지고 그 요건이 타당하다면 당원들과 함께 불구덩이라도 뛰어들어 민노당을 국민의 희망으로 만들 것이다.
최병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3 개 있습니다.

  • 15 10
    꼴방거사

    김창현이 오야붕이여?
    ㅋㅋㅋ...
    울산 주사파.
    알고 보면 개뿔도 아닌 것들이쥐...
    이영순의원님, 졸지에 남편대타로 뜨긴 했다만, 뭘 아는게 있을까?
    흐이구~~~
    민노당이 기껏 울산주사파 애들한테 장악되는 걸 보면
    얼마나 꼴같지도 않은 당인지 알아보긋네...
    순진한 권영길씨.
    갸들은 닳고 닳은 싸움꾼들이랍니다.
    할 줄 아는게 싸움뿐이라 비루빡에 똥칠할때까지 싸움만 하다 죽을 겁니다.
    증말 웃긴다.
    PD와 NL의 동거라니...

  • 19 24
    auto

    화이팅 심상정, 화이팅 민주노동당!
    선거에서 차마 권영길을 지지할 수 없었던 민주노동당 지지자다.
    민주노동당은 뼈를 깎는 자기반성을 해야한다.
    먼저, 우리사회의 지향점을 분명히 제시하기 바란다.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인지,
    유럽식 사민주의 체제인지,
    프롤레타리아 혁명에 의한 사회주의 체제인지를.
    또한,
    이땅의 서민 노동자들에게 당면한 과제가
    반미친북을 통한 남북통일인지,
    아니면, 취업과 노동자의 생존권 및 노동자의 권익향상과
    의료, 주거, 육아 등 서민복지인지도 명확하게 하기 바란다.

  • 12 28
    모땐동

    볼세비키를 청소해야지
    연안파ㅡ갑산파 청소처럼.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