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생산↑ 소비-투자↓ 경기 관망세
국내외 불확실성에 관망세 지속
3월 생산은 늘었으나 소비와 투자는 감소했다. 국내외 불확실성에 관망세가 계속되는 양상이다.
30일 통계청의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7(2020년=100)로 전달보다 0.9% 높아졌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1월 1.6% 감소했으나 2월 1.0% 증가한 데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은 제조업(3.2%)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어 전달보다 2.9% 증가했다. 특히 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생산이 13.3% 늘었다. 2023년 8월(13.6%) 이후 19개월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의약품(11.8%)과 전자부품(7.8%) 생산도 증가했으나, 기계장비(-3.1%), 석유정제(-9.3%) 등은 줄었다.
건설업 생산은 토목과 건축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2.7% 감소했다. 지난 2월 2.4% 늘면서 7개월 만에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0.3% 감소했다. 도소매업 생산이 3월 3.5% 줄면서 감소 전환했고 금융·보험(-2.1%), 정보 통신(-2.1%) 등 업종도 생산이 줄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 판매 지수도 0.3%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8.6%)에서 줄었다.
설비투자도 0.9%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4%) 등은 투자가 늘었으나,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2.6%)에선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2월 0.1p 상승한 데 이어 2개월 연속 오름세가 이어졌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상승하면서 두 달 연속 올랐다.
30일 통계청의 '3월 산업활동 동향'에 따르면 지난 달 전산업생산 지수는 114.7(2020년=100)로 전달보다 0.9% 높아졌다.
전산업생산은 지난 1월 1.6% 감소했으나 2월 1.0% 증가한 데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업종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은 제조업(3.2%)을 중심으로 생산이 늘어 전달보다 2.9% 증가했다. 특히 D램과 플래시메모리 등 메모리반도체를 중심으로 반도체 생산이 13.3% 늘었다. 2023년 8월(13.6%) 이후 19개월만에 최대 증가 폭이다.
의약품(11.8%)과 전자부품(7.8%) 생산도 증가했으나, 기계장비(-3.1%), 석유정제(-9.3%) 등은 줄었다.
건설업 생산은 토목과 건축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2.7% 감소했다. 지난 2월 2.4% 늘면서 7개월 만에 증가했다가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서비스 소비를 보여주는 서비스업 생산은 전달보다 0.3% 감소했다. 도소매업 생산이 3월 3.5% 줄면서 감소 전환했고 금융·보험(-2.1%), 정보 통신(-2.1%) 등 업종도 생산이 줄었다.
재화 소비를 뜻하는 소매 판매 지수도 0.3%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8%), 의복 등 준내구재(2.7%)에서 판매가 늘었으나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8.6%)에서 줄었다.
설비투자도 0.9% 감소했다. 자동차 등 운송장비(3.4%) 등은 투자가 늘었으나, 농업·건설·금속기계 등 기계류(-2.6%)에선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3포인트 상승했다. 2월 0.1p 상승한 데 이어 2개월 연속 오름세가 이어졌다.
향후 경기 국면을 예고해주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상승하면서 두 달 연속 올랐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