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대통합, 더 나아가선 대선 국면에 '조순형 변수'가 출현했다. '미스터 쓴소리' 조순형 통합민주당 의원이 '대선 출마' 가능성에 무게를 두기 시작한 것.
열린우리당과 비교할 때 민주당의 아킬레스건은 독자적 대선후보가 없다는 것이다. 열린당은 수시로 민주당에 "내세울 대선주자도 없으면서..."라고 민주당의 대통합 딴지걸기를 '지분 확보'로 일축해왔다.
이에 맞서 민주당 일각, 그 중에서도 특히 비(非)DJ진영에서는 오래 전부터 '조순형 추대'론이 나왔다. '미스터 쓴소리' 조 의원이 대선에 출마만 해준다면 일거에 현재 도토리 지지율에도 불구하고 너도나도 대선출마를 하고 있는 범여권의 대선주자들을 일거에 제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조순형의 대선 구상은 "반노비한'
실제로 조 의원은 범여권에서 상당한 차별성과 잠재력을 가진 인사다. 그는 노무현 대통령, 김대중 전대통령 가리지 않고 성역없이 쓴소리를 해왔다. 노 대통령이 독주할 때마다 쐐기를 박아 보수진영에 폭넓은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으며, 김홍업 출마 등 김 전대통령이 무리수를 둘 때마다 범여권 인사중 유일하게 호된 쓴소리를 했다. 여야 통털어 '원로급' 역할을 해온 거의 유일한 존재다.
그러면서도 그는 '정통 야당론'을 펴고 있다. 범여권인사들이 DJ를 '최대주주'로 떠받드는 데 대해 동의하지 않고 있다. DJ 혼자서 한국야당을 이끌어온 게 아니라는 반박이다. 여기에는 선친 조병옥 박사에 대한 자부심도 포함돼 있다.
조순형 의원은 그러나 지난 4월까지만 해도 '출마 불가' 입장을 밝혔다. "좋은 국회의원으로 남고 싶다"고 했다. 그 대신 그는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 등 비정치권 인사들에게 강한 관심을 보였다. 노무현 정권 실정에 공동책임이 있는 기존 범여권 인사들이나, 한나라당을 탈당한 손학규 전지사 등에게는 '범여권 대선주자 자격도, 능력도 없다'는 게 그의 생각이었다. 즉 노무현 실정에 대한 국민적 비난여론이 비등한 현 상황에선 노무현 정권에 채무가 없는 외부인사가 "반노비한'을 외칠 때만 승산이 있다는 주장이었다. 그는 공개리에 정 전총장에게 '조기 결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그러나 정운찬 전 총장이 불출마 선언을 하자, 조금씩 생각을 바꾸기 시작했고 말도 바뀌기 시작했다. 특히 통합민주당에 대한 'DJ의 범여권 대통합' 압박이 거세지자, 그의 발언의 강도가 세지고 있다.
그는 대통합과 관련해선 "당 대 당 통합은 안된다고 한 박상천 대표 입장을 지지한다"며 "당 대 당 통합은 국정실패 세력과 함께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안되며 열린우리당은 해체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김근태 전 의장이 주선한 범여권 대선주자 6인 회의에 대해서도 "대선후보 6인 연석회의에 모인 분들은 정당 기반도 없으면서 무슨 자격과 권한으로 모인 것인지 모르겠다"고 힐난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출마 여부에 대해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출마할 수도 있다는 메시지다.
김경재 통합민주당 최고위원은 이와 관련, "오는 26일 출마선언을 할 것"이란 얘기까지 하고 나섰다.
한동안 조의원 출마에 미온적이던 박상천 대표는 지난 5월 “조 의원도 대선주자로서 손색이 없다고 생각한다. 당내 조 의원을 추대하려는 분들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한 데 이어 최근 조 의원 출마에 상당히 적극적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조 의원은 출마하더라도 범여권 오픈프라이머리에는 참여할 뜻이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당 차원의 경합에서 그쳐야지, 지지율도 없는 수십명이 모여 와글거리는 쇼에는 관심없다는 얘기다. 따라서 '추대' 방식이 거론되고 있으며, 김경재 최고위원 등은 '조순형 추대위'를 만들겠다는 입장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다.
범여권 대통합 및 연말대선의 변수로 급부상하고 있는 조순형 의원. ⓒ연합뉴스
"찻잔속 미풍" vs "10%대 너끈"
조 의원이 출마하면 파괴력은 얼마나 될까.
열린우리당이나 동교동에선 "찻잔속 미풍에 그칠 것"이라 말한다. '미스터 쓴소리'로 인지도는 높으나 천성 독불장군인 그를 대통령감으로 생각하는 국민들은 거의 없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특히 '안티DJ' 성향이 강한 그에게 호남표가 갈 리 만무해 지지율이 오르는 일은 없을 것이라 말한다. 또한 보수층내에 그에 대한 호감이 상당한 것은 사실이나, 보수층이 그를 지지할 이유는 만무하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민주당내 비DJ진영 분석은 다르다. 김종인 의원 같은 경우는 "조 의원이 출마한다면 단기간에 지지율이 10%대까지 오르면 여타 범여권주자들을 추월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한다. 당내 일각에선 치열한 이명박-박근혜 전쟁이 끝나 승자와 패자가 갈리면, 패자쪽 지지자들이 조 의원으로 쏠릴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만약 조 의원 출마선언후 그의 지지율이 단기간에 범여권 대선주자들을 앞선다면 대통합 국면은 대혼란 속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높다. 통합민주당과 열린당간 통합은 완전히 물건너가며 범여권이 통합민주당과 대통합신당, 잔류열린우리당 등으로 두, 세토막 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대통합 및 연말대선 국면에 '변수'로 급부상하고 있는 조 의원이 과연 어떤 결단을 내릴지 예의주시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