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 김재정 보도 '정부 배후' 공방
이명박측 "정부가 자료 빼줘" vs <경향> "밝힐 수 없다"
이명박 처남 김재정씨가 자신의 부동산투기 의혹을 제기한 <경향신문>에 대해 자료 입수 경위를 공개하라며 '정부 배후' 의혹을 제기한 데 대해 <경향신문>이 입수 경위를 공개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명박 선대위는 이에 대해 해당자료를 '행정전산망 자료'라고 주장하며 거듭 '정부 배후' 의혹을 제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경향신문 "밝힐 수 없다"
<경향신문>의 박래용 사회부장은 3일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김재정씨 등 이명박 진영에서 요구하고 있는 47건의 부동산거래 내역 입수 경위에 대해 "밝힐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보도가 나갔다. 그 기사가 잘못됐으면 어디가 잘못됐다, 뭐뭐가 틀렸으면 정정보도 청구를 하고 누구 명예훼손을 했으면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하고 이렇게 법률적 제도적 구제방법이 있는데, 그런 기사의 잘잘못은 차치하고 자료 입수 경위를 밝혀라, 수사의뢰하겠다, 이렇게 윽박지르는 것은 나로서는 이해하기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명박 캠프 "행자부 종합전산망 자료 누가 빼 줬나"
이에 대해 이명박 선대위의 박형준 대변인은 같은 프로그램에서 "자료를 어디서 제공해서 받았든 그것은 관계가 없다, 이렇게 말을 했지만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순 없다"며 "아무리 신문사지만 불법적인 자료임이 분명하다"고 반박했다.
박 대변인은 "왜냐하면 공공기관 보호에 관한 법률이나 개인 사생활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이 자료는 도저히 유출될 수 없는 자료"라며 "이것은 공공기관에서 제공한 자료가 분명하다. 이 자료를 그냥 신문에 아무런, 더군다나 공인도 아닌 사인의 자료를 이렇게 드러낸다는 것은 분명히 불법적인 행위"라며 '정부 배후설'을 거듭 제기했다.
그는 "아무리 목적이 좋다고 하더라도 수단이 정당화 될 수 없다면 그것은 하지 않아야 되는 게 공공언론의 역할이라고 본다"며 "아무리 알권리라고 하는 목적이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그 수단이 정당화하지 않으면 그 목적 자체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언론에서도 나름대로 합리적인 의심이라고 해서 의혹 제기하는 것은 좋은데, 그래도 불법적인 자료를 인용하는 건 안 된다. 이건 행자부 종합 전산망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고는 접근할 수 자료"라며 "왜 언론이 불법적인 자료를 누가 제공해준다고 해서 그걸 바로 폭로를 하냐? 이건 좋은 언론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거듭 정부 배후설을 제기했다.
<경향> "자신에게 불리하다고 수사의뢰 운운은 어불성설"
이에 대해 박래용 부장은 "과거 언론은 수없이 많은 공식자료를 검증을 했다. 그 방면에 일종에 노하우가 쌓여있다고도 볼 수 있다"며 "장상 총리, 장대환 총리, 수없이 많은 공식자료를 한나라당에서 다 총리인준을 부결시켰는데, 그때 그것을 누가 검증했느냐 하면 한나라당이 하지 않았다. 언론이 다 찾아냈던 것"이라고 반박했다.
박 부장은 "그때 한나라당 정치인들, 정당의 누구도 언론보도에 대해서 수사의뢰하겠다고 하지 않았다. 다들 박수를 쳤다"며 "그런데 이제 자신에게 불리하다고 입수경위 밝혀라, 수사의뢰 하겠다는 것은 나로서는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형준 대변인은 "저희로서는 검증을 철저히 받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경향신문>을 비롯해 모든 언론에서 저희를 철저히 검증해 달라"며 "다만 다시 한번 말하지만 한번을 했건 열 번을 했건 불법적인 자료를 함부로 인용하는 것은 나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한편 김재정씨 및 이명박 선대위측은 문제의 <경향신문> 보도를 개인정보보호법 및 공공기록관리법 위반으로 규정한 뒤, 검찰 고발 등의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자료 출처를 둘러싼 공방은 앞으로 계속될 전망이다.
이명박 선대위는 이에 대해 해당자료를 '행정전산망 자료'라고 주장하며 거듭 '정부 배후' 의혹을 제기,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경향신문 "밝힐 수 없다"
<경향신문>의 박래용 사회부장은 3일 오전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과 인터뷰에서 김재정씨 등 이명박 진영에서 요구하고 있는 47건의 부동산거래 내역 입수 경위에 대해 "밝힐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보도가 나갔다. 그 기사가 잘못됐으면 어디가 잘못됐다, 뭐뭐가 틀렸으면 정정보도 청구를 하고 누구 명예훼손을 했으면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하고 이렇게 법률적 제도적 구제방법이 있는데, 그런 기사의 잘잘못은 차치하고 자료 입수 경위를 밝혀라, 수사의뢰하겠다, 이렇게 윽박지르는 것은 나로서는 이해하기가 어렵다"고 덧붙였다.
이명박 캠프 "행자부 종합전산망 자료 누가 빼 줬나"
이에 대해 이명박 선대위의 박형준 대변인은 같은 프로그램에서 "자료를 어디서 제공해서 받았든 그것은 관계가 없다, 이렇게 말을 했지만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순 없다"며 "아무리 신문사지만 불법적인 자료임이 분명하다"고 반박했다.
박 대변인은 "왜냐하면 공공기관 보호에 관한 법률이나 개인 사생활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이 자료는 도저히 유출될 수 없는 자료"라며 "이것은 공공기관에서 제공한 자료가 분명하다. 이 자료를 그냥 신문에 아무런, 더군다나 공인도 아닌 사인의 자료를 이렇게 드러낸다는 것은 분명히 불법적인 행위"라며 '정부 배후설'을 거듭 제기했다.
그는 "아무리 목적이 좋다고 하더라도 수단이 정당화 될 수 없다면 그것은 하지 않아야 되는 게 공공언론의 역할이라고 본다"며 "아무리 알권리라고 하는 목적이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그 수단이 정당화하지 않으면 그 목적 자체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언론에서도 나름대로 합리적인 의심이라고 해서 의혹 제기하는 것은 좋은데, 그래도 불법적인 자료를 인용하는 건 안 된다. 이건 행자부 종합 전산망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니고는 접근할 수 자료"라며 "왜 언론이 불법적인 자료를 누가 제공해준다고 해서 그걸 바로 폭로를 하냐? 이건 좋은 언론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거듭 정부 배후설을 제기했다.
<경향> "자신에게 불리하다고 수사의뢰 운운은 어불성설"
이에 대해 박래용 부장은 "과거 언론은 수없이 많은 공식자료를 검증을 했다. 그 방면에 일종에 노하우가 쌓여있다고도 볼 수 있다"며 "장상 총리, 장대환 총리, 수없이 많은 공식자료를 한나라당에서 다 총리인준을 부결시켰는데, 그때 그것을 누가 검증했느냐 하면 한나라당이 하지 않았다. 언론이 다 찾아냈던 것"이라고 반박했다.
박 부장은 "그때 한나라당 정치인들, 정당의 누구도 언론보도에 대해서 수사의뢰하겠다고 하지 않았다. 다들 박수를 쳤다"며 "그런데 이제 자신에게 불리하다고 입수경위 밝혀라, 수사의뢰 하겠다는 것은 나로서는 납득이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형준 대변인은 "저희로서는 검증을 철저히 받겠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경향신문>을 비롯해 모든 언론에서 저희를 철저히 검증해 달라"며 "다만 다시 한번 말하지만 한번을 했건 열 번을 했건 불법적인 자료를 함부로 인용하는 것은 나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본다"고 반박했다.
한편 김재정씨 및 이명박 선대위측은 문제의 <경향신문> 보도를 개인정보보호법 및 공공기록관리법 위반으로 규정한 뒤, 검찰 고발 등의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져 자료 출처를 둘러싼 공방은 앞으로 계속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