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남 대선출마, “나는 진보개혁진영 적자”
“진보적 비전으로 대선 임하면 승리는 우리 것"
신기남 전 열린우리당 의장이 ‘범여권 진보개혁진영의 적자’를 자임하며 대선 출마를 공식선언했다.
신 전 의장은 28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선출마 선언식을 갖고 “이번 대선에서 복지문화국가를 지향하는 새로운 진보개혁 노선을 한나라당의 수구보수 노선에 맞서 한판 치열한 가치싸움을 벌이고 이 땅의 평화개력세력의 빛나는 승리를 거두겠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를 계승할 다음 정부는 '복지정부'여야 한다”며 “국민의 5대 불안인 교육.주거.직업.건강과 노후 불안을 해소하는 이을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삼는 ‘5대 보장국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신 전 의장은 교육분야에서 대학등록금 후불제 실시 및 5년내 중학교 완전무상교육 실시, 주거복지분야에서는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도입 및 토지공공임대제 시행 방안을 제시했다. 실업급여와 고용보험 확대, 국민연금 역할 강화 정책도 내놓았다.
그는 “경제관료 지배력의 상징인 경제부총리제를 폐지하고 복지부총리제를 도입할 때가 왔다”며 “문화강국 노선을 대통령이 책임있게 추진하기 위해 청와대에 문화수석을 신설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 사회의 신자유주의 흐름에 대해 “성장지상주의, 경쟁만능주의에 이어 신자유주의 바람까지 불어 상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며 “경제관료 지배력의 상징인 경제부총리를 폐지하고, 복지부총리제를 도입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나라당 대선 예비 후보들을 향해선 “대통령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힌 분들이 이미 많이 있지만, 그분들은 한결 같이 경제성장을 제1의 가치로 내세웠다”며 “경제성장을 절체절명의 과제로 내세운 박정희 전 대통령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금 대한민국에는 '대운하'나 '열차페리'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미래가 보장되는 나라, 창의적 문화강국이라는 진보적 비전으로 주장하고 불퇴의 각오로 대선에 임한다면 승리는 결국 우리의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출마선언에는 우리당 정세균 의장과 장영달 원내대표를 비롯, 대선출마를 선언한 이해찬 전 총리와 김혁규 전 지사, 김두관 전 장관 외에 범여권 40여명의 의원이 참석했다.
신 전 의장은 28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대선출마 선언식을 갖고 “이번 대선에서 복지문화국가를 지향하는 새로운 진보개혁 노선을 한나라당의 수구보수 노선에 맞서 한판 치열한 가치싸움을 벌이고 이 땅의 평화개력세력의 빛나는 승리를 거두겠다”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를 계승할 다음 정부는 '복지정부'여야 한다”며 “국민의 5대 불안인 교육.주거.직업.건강과 노후 불안을 해소하는 이을 정부의 최우선 과제로 삼는 ‘5대 보장국가’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구체적으로 신 전 의장은 교육분야에서 대학등록금 후불제 실시 및 5년내 중학교 완전무상교육 실시, 주거복지분야에서는 시장친화적 토지공개념 도입 및 토지공공임대제 시행 방안을 제시했다. 실업급여와 고용보험 확대, 국민연금 역할 강화 정책도 내놓았다.
그는 “경제관료 지배력의 상징인 경제부총리제를 폐지하고 복지부총리제를 도입할 때가 왔다”며 “문화강국 노선을 대통령이 책임있게 추진하기 위해 청와대에 문화수석을 신설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 사회의 신자유주의 흐름에 대해 “성장지상주의, 경쟁만능주의에 이어 신자유주의 바람까지 불어 상태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며 “경제관료 지배력의 상징인 경제부총리를 폐지하고, 복지부총리제를 도입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그는 한나라당 대선 예비 후보들을 향해선 “대통령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힌 분들이 이미 많이 있지만, 그분들은 한결 같이 경제성장을 제1의 가치로 내세웠다”며 “경제성장을 절체절명의 과제로 내세운 박정희 전 대통령과 크게 다를 것이 없다”고 비판했다. 그는 “지금 대한민국에는 '대운하'나 '열차페리'가 필요한 것이 아니다”라며 “미래가 보장되는 나라, 창의적 문화강국이라는 진보적 비전으로 주장하고 불퇴의 각오로 대선에 임한다면 승리는 결국 우리의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출마선언에는 우리당 정세균 의장과 장영달 원내대표를 비롯, 대선출마를 선언한 이해찬 전 총리와 김혁규 전 지사, 김두관 전 장관 외에 범여권 40여명의 의원이 참석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