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근 "8월말께 4자정상회담 가시화될 것"
"종전선언은 북-중-미가 합의할 경우 언제든 가능해"
정형근 한나라당 의원은 28일 북핵 6자 외무장관 회담이 끝난 직후 8월말쯤 남-북-미-중 4개국 정상회담이 가시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자금 수령 즉시 사태 해결 종료를 선언하며 인도주의적 목적에 쓰겠다고 해 22개월만에 합의의 걸림돌이 제거됐다”며 “남북정상회담 추진과 관련, 6자외무장관회담이 끝나면 정부는 북미중 3개국과 한국 등 4개국 정상회담을 추진하려는 것 같다. 국정원은 '아직 남북정상회담 개최 움직임은 없다'고 밝혔으나, 이는 앞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여운을 담은 말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BDA사태로 인해 외국은행들이 북한과 금융거래 안하려 하고 있어, 북한이 향후 국제금융거래의 정상화를 요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정보당국은 전망하고 있다”며 “7월 중순 북한 영변 원자로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이 이뤄지고 7월말~8월초 6자 외무장관 회담이 열릴 것으로 정보당국은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8월2일 아시아지역안보포럼(ARF) 기간 중 외무장관회담 개최를 희망하나 한미는 7월말을 목표로 추진중이며,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관련해 1개월 이내 초기단계 조치를 취할 것이며, 핵폐쇄 봉인에 1-2주 소요될 것이고 중유 5만톤은 사찰단 입북시 제공될 것”이라며 “그렇게 된다면 8월말께 4자 정상회담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종전선언은 북중미가 합의할 경우 언제든 가능하다”며 “북미수교는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정국, 적성국가 명단에서 배제하는 작업이 이뤄져야 하고 이는 핵 폐기가 이뤄져야 한다. 이는 북한의 태도의 수준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이 마카오 방코델타아시아(BDA) 자금 수령 즉시 사태 해결 종료를 선언하며 인도주의적 목적에 쓰겠다고 해 22개월만에 합의의 걸림돌이 제거됐다”며 “남북정상회담 추진과 관련, 6자외무장관회담이 끝나면 정부는 북미중 3개국과 한국 등 4개국 정상회담을 추진하려는 것 같다. 국정원은 '아직 남북정상회담 개최 움직임은 없다'고 밝혔으나, 이는 앞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여운을 담은 말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BDA사태로 인해 외국은행들이 북한과 금융거래 안하려 하고 있어, 북한이 향후 국제금융거래의 정상화를 요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정보당국은 전망하고 있다”며 “7월 중순 북한 영변 원자로에 대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이 이뤄지고 7월말~8월초 6자 외무장관 회담이 열릴 것으로 정보당국은 보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8월2일 아시아지역안보포럼(ARF) 기간 중 외무장관회담 개최를 희망하나 한미는 7월말을 목표로 추진중이며,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관련해 1개월 이내 초기단계 조치를 취할 것이며, 핵폐쇄 봉인에 1-2주 소요될 것이고 중유 5만톤은 사찰단 입북시 제공될 것”이라며 “그렇게 된다면 8월말께 4자 정상회담이 가시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는 “종전선언은 북중미가 합의할 경우 언제든 가능하다”며 “북미수교는 미국이 북한을 테러지정국, 적성국가 명단에서 배제하는 작업이 이뤄져야 하고 이는 핵 폐기가 이뤄져야 한다. 이는 북한의 태도의 수준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