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국정원 "김정일 지병 악화 증세 없다"

"김정일 6월 들어 활발하게 현지 지도"

국가정보원은 11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건강이상설과 관련, "평소 심장병과 당뇨 등 지병을 보유하고 있으며 노령화로 인한 체력 저하 가능성은 있으나, 활동이 어려울 정도로 지병이 악화된 증세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중앙언론사 정치부장단과 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김 위원장이 지난달 5일 군부대 방문 후 한달 가량 공개석상에 나타나지 않자 한 때 `건강악화설'이 대두됐지만 "김 위원장이 30일 이상 장기간 공개활동을 중단한 것은 김일성 사망 이후 17번이나 될 정도로 수시로 있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와 관련, 국정원 고위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지난 5월 평양에 긴급 파견된 베를린 심장센터 의료팀으로부터 심장 바이패스 수술을 받았다'는 일본 시사주간지 보도에 대해 "북한 고위간부들이 (독일 의사들을) 초청하는 경우도 있지만, 수술대상이 김 위원장이었다는 증거는 없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김 위원장은 6월1일 이후 자강.평북도를 방문하는 등 최근 활발하게 현지지도를 하고 있으며, 오리공장과 댐을 방문하는 등 동선도 매우 길다"면서 "보도된 대로 김 위원장이 5월에 수술을 받았다면 6월초에 활발한 활동을 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국정원은 또 김 위원장의 후계문제와 관련, "구체적인 징후는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은 "과거 고영희 생존시에는 일시적이나마 그의 소생인 김정철, 정운 중 1명을 후계자로 육성하려 했던 움직임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 이들이 특별한 공직을 맡고 있지 않은데다, 김정남도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등 후계구도가 가시화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의 식량사정과 관련, 국정원은 모든 주민을 대상으로 20% 정도 감량배급을 하더라도 8월 중 보유곡물이 고갈될 것으로 보여 대외도입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올해 북한의 곡물 수요량은 650만t인데 비해, 확보 가능분은 480여만t으로 170만t 정도가 부족할 것으로 국정원은 예상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1 개 있습니다.

  • 5 4
    슈타지

    김정일 대변인 됐냐?
    너그도 비디오 찍혔냐?
    고려호텔에서?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