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관 여고생 성관계', 경찰청·부산청 알고도 쉬쉬
경찰청도 이달 초 사실 파악했으나 조처없어
경찰청 본청도 이 사건이 외부에 알려지기 20여일 전에 이미 사실관계를 파악하고 있었지만 역시 조처가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지방청뿐 아니라 경찰의 최상위 조직인 본청까지 이번 사안의 심각성을 간과했거나, 해당 경찰관이 민간인이 됐다는 이유로 사건을 조용히 덮으려 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올 만한 대목이다.
28일 연합뉴스 취재 결과 청소년 보호기관은 5월 9일 부산경찰청에 전화를 걸어 연제경찰서 정모(31) 경장의 부적절한 처신을 처음으로 통보했다.
그러자 부산경찰청 담당자는 연제경찰서 청문감사관실에 신고하라고 안내만 하고 아무런 조처를 하지 않았다.
부산경찰청은 그동안 "지난 24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관련 글이 오른 뒤에야 의혹이 있다는 것을 알고 진위파악에 나섰다"고 설명해왔다.
그러나 청소년 보호기관은 부산경찰청 직원의 안내에 따라 같은 날 연제경찰서에 전화해 정 경장의 비위행위를 신고한 것으로 밝혀졌다.
정 경장은 다음날인 5월 10일 "경찰관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며 사표를 냈고, 17일 아무런 징계 없이 수리돼 퇴직금을 모두 챙기고 옷을 벗었다.
부산경찰청이 통보를 받은 뒤 적극적으로 조처했다면 이 같은 일을 막을 수 있었다.
부산경찰청은 오히려 연제경찰서가 사건을 은폐하면서 "정 경장이 개인 신상을 이유로 사표를 냈다"고 허위 보고했는데도 문제를 삼지 않았다.
이때 제동을 걸었다면 사하경찰서에서 김모(33) 경장이 다른 여고생과 부적절한 처신을 하는 사태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김 경장은 이달 4일 자신이 담당하는 여고생과 방과 후 차 안에서 성관계를 했다. 이어 나흘 후인 8일 문제가 불거지자 9일 개인 신상을 이유로 사표를 내 징계 없이 경찰을 떠났다.
연제경찰서와 사하경찰서는 24일까지 사건을 은폐하다가 이 문제가 공론화하자 "경찰관의 사표가 수리된 이후에 비위행위를 알았다"고 보고했다.
이후 이 경찰서들이 허위보고한 사실이 양파 껍질 벗겨지듯이 속속 드러났다.
이 경찰서 서장들은 27일 허술한 지휘ㆍ관리와 보고 누락 책임을 지고 대기발령됐다.
이상식 부산경찰청장은 28일 오전 기자 간담회에서 "한 점 의혹이 없도록 철저하게 조사해 책임을 묻겠다"면서 "두 경찰서의 서장은 (허술한 지휘ㆍ관리 등의) 책임을 지는 모습을 보인다는 측면에서 경찰청장에게 건의해 대기발령했다"고 밝혔다. 이 청장은 또 "지난 24일 SNS에 글이 올라온 이후에야 의혹이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부산경찰청은 지난 5월 9일 오후 지방청 여성청소년수사계 직원(경위)이 보호기관으로부터 "경찰관과 여고생이 1년간 부적절한 이성관계를 이어가고 있다"는 전화를 받고 연제경찰서로 안내한 것은 사실이지만 윗선에 보고하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또 해당 직원은 김 경장의 행위가 범죄가 아니라 품위유지 위반이어서 연제경찰서가 조처할 것으로 판단해 윗선에 보고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 직원은 이날 오후 경찰청으로부터 확인전화를 받고서야 전화안내 사실을 털어놨다는 게 부산경찰청의 설명이다.
학교전담 경찰관들이 선도대상 여고생과 성관계한 사건이 사회적 파문을 일으켰는데도 해당 직원이 사후 보고조차 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를 놓고 부산경찰청이 '꼬리 자르기'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 않다.
경찰청 감찰담당관실도 이달 1일 부산 연제서 정 경장이 여고생과 성관계를 했다는 첩보를 입수하고서 부산경찰청 감찰계를 통해 정 경장의 부적절한 행위가 사실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하지만 정 경장이 이미 사직해 민간인이 됐다는 이유로 더 이상 감찰 등을 진행하지 않았고, 이성재 감찰담당관(총경)도 이런 사실을 윗선에 보고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감찰담당관실이 정 경장 사건을 파악한 시점 역시 사하서 김 경장 사건이 일어나기 전이어서 본청마저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아 김 경장 사건을 방지할 기회를 놓쳐버린 셈이다.
이 담당관은 연합뉴스 통화에서 "(정 경장이) 이미 사직처리됐고, 보호기관을 통해 추가로 사실을 확인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며 "그 이상 조치를 하지 않은 것은 실무진의 판단 부족이었다"고 실수를 인정했다.
경찰청은 28일 감사팀을 부산으로 급파해 전반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감찰 주체인 경찰청 감찰담당관실마저 결정적인 실수를 범한 상황에서 제대로 된 감찰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