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김무성에게 안심번호 합의 권한 준 적 없다"
조원진 "안심번호가 여론조사지, 무슨 오픈프라이머리냐"
조 수석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중진연석회의후 기자들과 만나 "새로운 방법 중 하나가 안심번호는 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방법과 당론으로 정해진 오픈프라이머리를 붙여서 '안심번호식 공천제다', 이건 안 맞는 얘기"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당에서 준 거는 야당이 동의를 할 경우에 법을 바꿔서 완전국민경선제를 하라는 게 당론"이라면서 "그게 야당이 거부해 안됐으면 포기선언을 해야된다. 그러고 새로운 경선제를 마련하는데 굳이 경선제도를 여야가 같이 해야되는지는 다른 거잖나? 경선제도를 여야가 같이 하는 나라가 어디있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더 나아가 "선관위에서 얘기하는 것은 안심번호 방식은 국민경선이 아니라고 딱 못을 박았다. 여론조사의 방식의 하나의 방법으로 안심번호를 할 수 있다고 했다"며 "그런데 이거를 마치 '안심번호 국민경선제' 이렇게 플러스 해서 얘기하는 것은 맞지 않다. 선관위에서 하는 얘기하고 전혀 다른 얘기잖나"라고 반문했다.
그는 또한 "대구에서 써봤는데 문제가 많은 제도다. 대구시장 선거때 제가 직접 시장(경선에) 출마를 해서 써봤는데 문제가 엄청나게 많은 제도"라며 "안심번호 선택하면 야당은 2만명에서 300~1000명 선거인단을 구성하자는 안이고, 여당은 전체 2만명에 다 줘서 그거 가지고 뽑자는 건데 그럼 그냥 여론조사하는 거랑 똑같은 거 아닌가"라고 안심번호의 구체적 부작용을 지적하기도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