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성장률 예상보다 악화, '3% 성장' 물건너가
정부 뒤늦게 추경-금리인하 만지작, MB 마지막해도 잿빛
지난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속보치 0.4%보다 더 낮은 0.3%로 나타나, 올해 3% 성장이 사실상 물건너간 양상이다.
6일 한국은행의 '2012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보다 0.3% 성장에 그쳤다.
이는 지난 7월 발표한 속보치 0.4%보다 더 낮아진 수치로, 실질 GDP는 지난해 4분기 0.3%에서 올해 1분기 0.9%로 크게 올랐다가 다시 지난해말 수준으로 급락한 셈이다.
이처럼 속보치보다 성장률이 더 낮아진 것은 예상보다 건설업과 제조업 지표가 악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실질 GDP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2.3% 성장하는 데 그쳤다. 이 역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2009년 3분기 1.0% 성장 이후 가장 낮다.
이처럼 2분기 성장률이 낮아지면서 2.6%로 집계됐던 상반기 성장률이 2.5%로 낮아지면서, 사실상 올해 성장률 목표치 3% 달성은 물건너갔다는 게 중론이다.
3분기 경제상황은 마지막 보루였던 수출마저 급감하면서 2분기보다 더욱 악화일로를 걷고 있으며, 4분기 상황 또한 만만치 않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대기업 관계자들은 "4분기는 3분기보다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렇게 상황이 악화되면서 국내외 경제전문기관 대다수는 올해 한국 성장률이 2%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해외 투자은행(IB) 10곳 가운데 9곳이 2%이하 성장을 예상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가장 낙관적이던 현대경제연구원조차 최근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낮춘 상태다.
상황이 이렇게 급박하게 돌아가자 3%대 성장을 장담해온 정부에 뒤늦게 초비상이 걸렸다.
이에 연말 대선을 앞둔 새누리당의 20조원대 추경예산에 부정적이던 정부 일각에서 태풍 피해 등을 명분으로 추경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조심스레 흘러나오기 시작했으며, 한국은행도 오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3.0%에서 2.75%로 추가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곡물 등 국제원자재값 폭등으로 국내 식료품물가와 휘율유, 전기요금 등이 급등하는 등 물가불안 요인이 여전한 상황이어서, 자칫 금리인하 등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경기부양은 못하고 물가불안만 부추키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어 MB정권 마지막 해도 경제는 잿빛으로 끝날 전망이다.
6일 한국은행의 '2012년 2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2분기 실질 GDP는 전분기보다 0.3% 성장에 그쳤다.
이는 지난 7월 발표한 속보치 0.4%보다 더 낮아진 수치로, 실질 GDP는 지난해 4분기 0.3%에서 올해 1분기 0.9%로 크게 올랐다가 다시 지난해말 수준으로 급락한 셈이다.
이처럼 속보치보다 성장률이 더 낮아진 것은 예상보다 건설업과 제조업 지표가 악화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실질 GDP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2.3% 성장하는 데 그쳤다. 이 역시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2009년 3분기 1.0% 성장 이후 가장 낮다.
이처럼 2분기 성장률이 낮아지면서 2.6%로 집계됐던 상반기 성장률이 2.5%로 낮아지면서, 사실상 올해 성장률 목표치 3% 달성은 물건너갔다는 게 중론이다.
3분기 경제상황은 마지막 보루였던 수출마저 급감하면서 2분기보다 더욱 악화일로를 걷고 있으며, 4분기 상황 또한 만만치 않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대기업 관계자들은 "4분기는 3분기보다 더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렇게 상황이 악화되면서 국내외 경제전문기관 대다수는 올해 한국 성장률이 2%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해외 투자은행(IB) 10곳 가운데 9곳이 2%이하 성장을 예상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가장 낙관적이던 현대경제연구원조차 최근 성장률 전망치를 2.8%로 낮춘 상태다.
상황이 이렇게 급박하게 돌아가자 3%대 성장을 장담해온 정부에 뒤늦게 초비상이 걸렸다.
이에 연말 대선을 앞둔 새누리당의 20조원대 추경예산에 부정적이던 정부 일각에서 태풍 피해 등을 명분으로 추경이 불가피한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조심스레 흘러나오기 시작했으며, 한국은행도 오는 13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3.0%에서 2.75%로 추가인하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곡물 등 국제원자재값 폭등으로 국내 식료품물가와 휘율유, 전기요금 등이 급등하는 등 물가불안 요인이 여전한 상황이어서, 자칫 금리인하 등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경기부양은 못하고 물가불안만 부추키는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어 MB정권 마지막 해도 경제는 잿빛으로 끝날 전망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