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 7개월만에 '비관론' 전환
경기침체와 부동산 추가하락에 소비심리 꽁꽁
8월 소비심리지수가 7개월만에 다시 '부정적'으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8월 소비자동향지수'를 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SI)는 CSI는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한 99를 기록했다. CSI가 100을 밑돌면 향후 전망을 비관적으로 판단한다는 의미다.
CSI가 10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1월(98) 이후 7개월 만의 일이다. CSI는 2월 100, 3월 101, 4월 104, 5월 105로 정점을 찍은 뒤 6월 101에 이어 7월 100으로 내려갔다.
가계의 소비심리는 다소 위축됐다. 소비심리를 보여주는 현재생활형편CSI는 87로 7월과 같았지만 생활형편전망CSI는 92로 1포인트 줄었다. 가계수입전망CSI도 94로 같은 기간 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에 소비지출전망CSI는 1포인트 상승한 107로 나타났다.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도 크게 악화돼, 현재경기판단CSI는 67로 전월보다 4포인트나 떨어졌다. 경기전망CSI 역시 3포인트 하락한 78에 그쳤다.
반면에 물가수준전망CSI는 141로 5포인트 증가, 최근 식료품값 연쇄 인상에 대한 불안감을 반영했다.
실제로 소비자가 앞으로 1년 후 물가수준을 예상한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과 같은 연평균 3.6%를 기록, 지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1.5%)과 큰 괴리를 나타냈다. 앞으로도 물가가 크게 오를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의미다.
자산항목별로는 주식가치전망CSI(90)가 1포인트 올랐으나 주택ㆍ상가(92), 토지ㆍ임야(91), 금융저축가치전망CSI(89)는 2~3포인트씩 낮아져, 부동산값이 계속 추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8월 소비자동향지수'를 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SI)는 CSI는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한 99를 기록했다. CSI가 100을 밑돌면 향후 전망을 비관적으로 판단한다는 의미다.
CSI가 100 아래로 떨어진 것은 지난 1월(98) 이후 7개월 만의 일이다. CSI는 2월 100, 3월 101, 4월 104, 5월 105로 정점을 찍은 뒤 6월 101에 이어 7월 100으로 내려갔다.
가계의 소비심리는 다소 위축됐다. 소비심리를 보여주는 현재생활형편CSI는 87로 7월과 같았지만 생활형편전망CSI는 92로 1포인트 줄었다. 가계수입전망CSI도 94로 같은 기간 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에 소비지출전망CSI는 1포인트 상승한 107로 나타났다.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도 크게 악화돼, 현재경기판단CSI는 67로 전월보다 4포인트나 떨어졌다. 경기전망CSI 역시 3포인트 하락한 78에 그쳤다.
반면에 물가수준전망CSI는 141로 5포인트 증가, 최근 식료품값 연쇄 인상에 대한 불안감을 반영했다.
실제로 소비자가 앞으로 1년 후 물가수준을 예상한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과 같은 연평균 3.6%를 기록, 지난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1.5%)과 큰 괴리를 나타냈다. 앞으로도 물가가 크게 오를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의미다.
자산항목별로는 주식가치전망CSI(90)가 1포인트 올랐으나 주택ㆍ상가(92), 토지ㆍ임야(91), 금융저축가치전망CSI(89)는 2~3포인트씩 낮아져, 부동산값이 계속 추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