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학선, 한국체조사상 첫 금메달 쾌거
'52년의 한' 풀어, 한국 금메달 11개로 쾌속질주
'도마의 신(神)' 양학선(20·한체대)이 6일(현지시간) 한국 체조에 사상 최초로 금메달을 선사하는 역사적 쾌거를 이룩했다.
양학선은 이날 런던 노스그리니치 아레나에서 열린 남자 도마 결선에서 1,2차 시기 평균 16.533점을 획득해 2위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16.399점)를 큰 점수 차로 따돌리고 금메달을 따내는 데 성공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부터 참가해 온 한국 체조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한국체조는 이로써 '52년의 한'을 풀 수 있었다.
양학선은 1차 시기에서 자신의 독보적 고난도 기술인 '양학선'을 펼쳐 16.466점을 받았다. 비록 착지후 두걸음 앞으로 나가 감점을 받았지만 착지를 제외한 모든 동작은 완벽 그 자체였다.
이 종목 최고 난도인 7.4점짜리 기술 '양학선'은 도마를 양손으로 짚은 뒤 공중에서 세바퀴를 돌고 착지하는 양학선만의 독보적인 기술이다.
양학선은 이어 2차 시기에서 스카라 트리플(난도 7.0점) 연기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착지도 흔들림없이 깔끔하게 해내면서 금메달을 확정지었다.
2차 시기가 끝나자마자 경기장에서는 완벽한 연기에 놀라는 관중들의 탄성과 함께 금메달을 확정지은 양학선 선수를 격려하는 박수 갈채가 터져나왔고 양학선은 두 손을 불끈 쥐고 환호에 답했다.
특히 시상식에서는 북한의 장웅 IOC 위원이 양학선의 목에 금메달을 걸어주며 한민족의 쾌거를 축하해줘 의미를 더했다.
양학선의 금메달 획득으로 한국팀은 금메달 11개를 따내며 당초 목표치(10개)를 넘어서 쾌속질주를 계속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이번 올림픽에서 과거 일부 종목에 금메달이 국한됐던 한계를 넘어서 체조, 펜싱 등 미지의 영역에서 골고루 금메달을 따내면서 명실상부한 스포츠 강국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하는 쾌거를 이룩하고 있다.
양학선은 이날 런던 노스그리니치 아레나에서 열린 남자 도마 결선에서 1,2차 시기 평균 16.533점을 획득해 2위 데니스 아블랴진(러시아·16.399점)를 큰 점수 차로 따돌리고 금메달을 따내는 데 성공했다.
1960년 로마 올림픽부터 참가해 온 한국 체조가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한국체조는 이로써 '52년의 한'을 풀 수 있었다.
양학선은 1차 시기에서 자신의 독보적 고난도 기술인 '양학선'을 펼쳐 16.466점을 받았다. 비록 착지후 두걸음 앞으로 나가 감점을 받았지만 착지를 제외한 모든 동작은 완벽 그 자체였다.
이 종목 최고 난도인 7.4점짜리 기술 '양학선'은 도마를 양손으로 짚은 뒤 공중에서 세바퀴를 돌고 착지하는 양학선만의 독보적인 기술이다.
양학선은 이어 2차 시기에서 스카라 트리플(난도 7.0점) 연기를 완벽하게 소화하며 착지도 흔들림없이 깔끔하게 해내면서 금메달을 확정지었다.
2차 시기가 끝나자마자 경기장에서는 완벽한 연기에 놀라는 관중들의 탄성과 함께 금메달을 확정지은 양학선 선수를 격려하는 박수 갈채가 터져나왔고 양학선은 두 손을 불끈 쥐고 환호에 답했다.
특히 시상식에서는 북한의 장웅 IOC 위원이 양학선의 목에 금메달을 걸어주며 한민족의 쾌거를 축하해줘 의미를 더했다.
양학선의 금메달 획득으로 한국팀은 금메달 11개를 따내며 당초 목표치(10개)를 넘어서 쾌속질주를 계속하면서 세계를 놀라게 하고 있다.
특히 한국은 이번 올림픽에서 과거 일부 종목에 금메달이 국한됐던 한계를 넘어서 체조, 펜싱 등 미지의 영역에서 골고루 금메달을 따내면서 명실상부한 스포츠 강국으로 굳건히 자리매김하는 쾌거를 이룩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