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국채 금리 '마의 7%' 돌파, 유럽증시 급락
이탈리아, 구제금융 신청 위기로 몰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총리가 사의를 표명했음에도 9일 이탈리아 국채 유통수익률(금리)이 7%를 돌파하는 등 이탈리아 위기가 더욱 벼랑끝으로 치닫고 있다.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의 금리는 이날 오전 10시11분(GMT) '구제금융 가이드라인'으로 여겨지는 7%선을 넘겨 7.024%까지 상승했다.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선 것은 1997년 이후 처음이다.
안전자산인 독일 국채 분트와의 금리 차이(스프레드) 역시 500베이시스포인트를 넘어섰다.
5년 만기 국채의 금리도 7.14%로 뛰어 1999년 유로존 출범 이후 처음으로 7%대를 넘었다.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서면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외국의 구제금융 없이는 파산 위기를 넘기기 힘들어진다.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도 국채 금리가 7%를 넘기 시작한 시점부터 각각 17일, 22일, 91일 만에 구제금융을 신청해야 했다.
베를루스코니 사임 소식에 상승세로 출발했던 유럽 증시는 이탈리아 국채 유통수익률이 7%를 넘었다는 소식에 일제히 급락세로 반전하는 등 시장이 크게 출렁이고 있다. 이탈리아는 유럽 3위의 경제대국으로, 이탈리아가 구제금융을 신청할 경우 이탈리아 국채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 은행 등이 동반 몰락 위기에 몰리는 등 세계경제에 미증유의 타격이 가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이탈리아 10년 만기 국채의 금리는 이날 오전 10시11분(GMT) '구제금융 가이드라인'으로 여겨지는 7%선을 넘겨 7.024%까지 상승했다. 이탈리아 10년물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선 것은 1997년 이후 처음이다.
안전자산인 독일 국채 분트와의 금리 차이(스프레드) 역시 500베이시스포인트를 넘어섰다.
5년 만기 국채의 금리도 7.14%로 뛰어 1999년 유로존 출범 이후 처음으로 7%대를 넘었다.
국채 금리가 7%를 넘어서면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워 외국의 구제금융 없이는 파산 위기를 넘기기 힘들어진다. 그리스,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도 국채 금리가 7%를 넘기 시작한 시점부터 각각 17일, 22일, 91일 만에 구제금융을 신청해야 했다.
베를루스코니 사임 소식에 상승세로 출발했던 유럽 증시는 이탈리아 국채 유통수익률이 7%를 넘었다는 소식에 일제히 급락세로 반전하는 등 시장이 크게 출렁이고 있다. 이탈리아는 유럽 3위의 경제대국으로, 이탈리아가 구제금융을 신청할 경우 이탈리아 국채를 다량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 은행 등이 동반 몰락 위기에 몰리는 등 세계경제에 미증유의 타격이 가해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