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긴급] 그리스, EU 탈퇴도 국민투표로 결정

EU 붕괴 위기, 그리스 총리 마지막 승부수 던져

그리스 정부가 2차 구제금융 수용을 위한 긴축정책 수용 외에 유럽연합(EU) 탈퇴 여부도 국민투표로 결정하기로 해, 그리스 사태를 계기로 EU가 붕괴 위기에 직면한 게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그리스의 게오르기오스 파판드레오 총리는 1일(현지시간) 장관들에게 제2차 구제금융안 국민투표를 설명하면서 국민투표에 EU 및 유로존(17개 유로화 사용국)의 탈퇴 여부를 포함할 것이라고 밝혔다.

파판드레우 총리는 “이 정부냐 아니면 다른 정부냐를 결정하는 것은 딜레마가 아니다”라면서 정권 유지에 집착하지 않고 있음을 밝히며 “딜레마는 대출 협약, 유럽, 유로존에 대해 예스나 노를 결정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리스의 EU 탈퇴 국민투표는 그동안 물밑에서 거론돼온 탈퇴 주장을 수면위로 끌어올렸다는 점에서 일파만파의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상당수 그리스 국민들은 EU 체제하에서는 환율 변동이 제한받는만큼 EU를 탈퇴해 환율을 자유화해야 위기에서 빨리 탈출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그리스 경제가 뚜렷한 수출산업없이 관광업 등에만 의존하고 있어 그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다.

그리스 국민들이 만약 투표에서 EU 및 유로존 탈퇴를 결정할 경우 1991년 '시민의 집'을 표방하며 출범한 유럽연합은 20년만에 와해 붕괴를 맞게 되는 등, 거센 후폭풍이 불가피할 전망이어서 귀추가 주목된다.
임지욱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9 개 있습니다.

  • 4 0
    ㅎㅎㅎ

    한미 FDA 도 국민투표하자

  • 3 0
    괴링

    독일이 위임통치해라

  • 6 0
    그리스를본받자

    한국도 한미 FTA 국민투표에 붙이자

  • 2 0
    민초

    정해진 수순. 빚은 갚아야 해결되고 버블은 터지는게 정상이다. 물론 이미 터지고 있는데 주둥이로만 안터졌다고 하는게 더 문제지만..

  • 3 0
    111님

    밑에님..제가 좀 냉소적으로 끄적대긴했지만 틀린말은 안했거든요..
    님도 님 나름대로 아시는게 있으니 그리 말하셨겠지만
    제가 하는말은 단순 수면위로 드러난 사실보다는 초강대국이었던 미국의
    "힘도 없는것들이 까불지마..꼽냐?" 식의 무분별달러발행 횡포를 막기위해
    내놓은게 유로화였단말입니다
    여러각도로 좀 찾아보시길..

  • 2 1
    111

    원래 아래 그게 아니라네
    미국을 구성하는 자본은 두개 가 있다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사가서 미국을 만든 유럽서구유태자본과 로스트
    미국내에서 태어난 유태인축으로 하는 미국유태자본 록펠러 이 두개가 있다
    여기서에는 무슨 계파들로 쪼개져 골드만이니 노비네파 뉴라이트 파 든 등 또다들어가는데
    이딴건 내 모른다

  • 7 0
    윗물이 맑아야지

    지금의 사태로 가장 웃고있는건 당연히 미국..
    초강대국의 지위로 실제 금 보유량을 초과하는 무지막지한
    달러 발행으로..한마디로 작은담보로 힘을 내세운 우격다짐으로
    달러 팍팍 찍어서 희희낙낙 살았는데..설마 연합군(EU)을 만들어서
    유로화라는 무기로 대들줄은 몰랐었겠지
    이런데도 한미FTA 한국위상? 맹박아 왜사니..

  • 12 0
    윗물이 맑아야지

    웃기네..
    애초에 유럽연합(EU)이 유로화를 사용한 계기가 초강대국 미국의 묻지마식 달러발행 남발로 인한 견제와 자구책이었다
    그리스의 경우는 정치인들이 나라 말아먹고 유럽각국이 어떻게든 일단은
    살려놓고 보자고 지원한다는데도..정치인들이 책임지기 두려워서
    국민들에게 투표붙여서 책임을 떠넘기는거다
    오세후니는 보고있냐?

  • 3 3
    111

    그리스 가 과거에 스던 화폐로 되돌아가겟다고하는거지요
    과거에 쓰던 그리스 화폐 를 발행하여 쓰던
    지역화폐 ...... 앞으로는 이렇게 된다 .
    자주自主 시대 에 어쩌고저쩌고 라서
    남조선 화폐는 사라진다
    통일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