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가계, 빚은 늘고 수입은 줄고
유가하락 영향으로 소비자전망지수는 소폭 개선
9월 소비자기대지수가 유가 하락의 여파로 8개월만에 소폭 상승했다. 그러나 수입이 줄고 빚이 늘었다는 소비자 비중이 커짐에 따라 실제삶은 여전히 고달픈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기대지수 1월 이후 8개월만에 소폭 상승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9월 소비자전망조사 결과’에 따르면 6개월 후의 경기, 생활형편, 소비지출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보여주는 소비자기대지수는 94.8로 전월의 93.7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자기대지수가 상승한 것은 지난 1월 이후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23일까지 7일동안 도시지역 2천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소비자기대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밑돌면 6개월 후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이 현재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는 가구의 비중이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계절조정 소비자기대지수도 96.3을 기록, 전월의 95.9보다 올라갔다.
조사 결과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 생활형편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는 78.9로 전월보다 1.1포인트 올라 6개월만에 상승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는 83.7로 전월의 83.2보다 상승했고 생활형편 기대지수도 98.7로 전월의 95.9보다 올라갔으며 소비지출 기대지수 역시 102.1로 전월의 101.9보다 높아졌다.
소득 계층별로는 월 평균 4백만원 이상 98.3, 3백만~3백99만원 99.1, 2백만~2백99만원 96.1, 1백만~1백99만원 91.9, 1백만원 미만 87.6 등으로 모든 소득계층에서 소비자기대지수가 전월보다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20대만 103.6으로 전월의 104.9보다 내려갔을 뿐 30대(100.6), 40대(93.7), 50대(91.6), 60대 이상(89.4) 등 나머지 연령층의 기대지수는 전월보다 올라갔으며, 특히 30대의 기대지수는 지난 6월(101.4) 이후 3개월만 기준치(100)를 상회했다.
현재 자산 가치를 6개월 전과 비교한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자산평가지수도 주택 및 상가(96.3), 토지 및 임야(99.5), 금융저축(95.0), 주식 및 채권(90.6) 등 모든 부문에서 상승했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가계의 살림살이 구조는 더욱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6개월 전에 비해 부채가 증가했다고 대답한 가구의 비중은 23.1%로 전월에 비해 1.7% 포인트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 가계수입이 늘었다는 비중은 18.9%로 0.3%포인트 낮아졌고, 수입이 줄었다는 비중은 0.7%포인트 상승한 31.7%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9월 들어 유가가 많이 떨어지고 주가가 상승하면서 소비자기대지수가 8개월만에 상승 반전했지만 이런 추세가 지속될 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소비자기대지수 1월 이후 8개월만에 소폭 상승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9월 소비자전망조사 결과’에 따르면 6개월 후의 경기, 생활형편, 소비지출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기대심리를 보여주는 소비자기대지수는 94.8로 전월의 93.7보다 1.1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자기대지수가 상승한 것은 지난 1월 이후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7일부터 23일까지 7일동안 도시지역 2천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소비자기대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밑돌면 6개월 후의 경기나 생활형편 등이 현재보다 나빠질 것으로 보는 가구의 비중이 그렇지 않은 가구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계절조정 소비자기대지수도 96.3을 기록, 전월의 95.9보다 올라갔다.
조사 결과 6개월 전과 비교해 현재의 경기, 생활형편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를 나타내는 소비자평가지수는 78.9로 전월보다 1.1포인트 올라 6개월만에 상승했다. 세부 항목별로는 경기에 대한 기대지수는 83.7로 전월의 83.2보다 상승했고 생활형편 기대지수도 98.7로 전월의 95.9보다 올라갔으며 소비지출 기대지수 역시 102.1로 전월의 101.9보다 높아졌다.
소득 계층별로는 월 평균 4백만원 이상 98.3, 3백만~3백99만원 99.1, 2백만~2백99만원 96.1, 1백만~1백99만원 91.9, 1백만원 미만 87.6 등으로 모든 소득계층에서 소비자기대지수가 전월보다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20대만 103.6으로 전월의 104.9보다 내려갔을 뿐 30대(100.6), 40대(93.7), 50대(91.6), 60대 이상(89.4) 등 나머지 연령층의 기대지수는 전월보다 올라갔으며, 특히 30대의 기대지수는 지난 6월(101.4) 이후 3개월만 기준치(100)를 상회했다.
현재 자산 가치를 6개월 전과 비교한 소비자들의 주관적인 평가를 나타내는 자산평가지수도 주택 및 상가(96.3), 토지 및 임야(99.5), 금융저축(95.0), 주식 및 채권(90.6) 등 모든 부문에서 상승했다.
그러나 내용을 들여다보면 가계의 살림살이 구조는 더욱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6개월 전에 비해 부채가 증가했다고 대답한 가구의 비중은 23.1%로 전월에 비해 1.7% 포인트나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또 가계수입이 늘었다는 비중은 18.9%로 0.3%포인트 낮아졌고, 수입이 줄었다는 비중은 0.7%포인트 상승한 31.7%를 기록했다.
통계청은 "9월 들어 유가가 많이 떨어지고 주가가 상승하면서 소비자기대지수가 8개월만에 상승 반전했지만 이런 추세가 지속될 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