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한국의 가계부채 급증 우려돼"
“한국, 외환위기 이전 신용등급 회복 못한 아시아 6개국 중 하나”
국제 신용평가기관 스탠다드 앤 푸어스(S&P)가 아시아 정부들의 높은 부채 수준에 대해 경고하면서, 한국에 대해 민간분야 부채 즉 가계부채 규모가 급증하고 있는 데 대해 강한 우려를 표명했다.
“한국과 중국.인도.싱가포르 GDP 대비 민간부채 급증”
5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S&P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국가 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이들 국가의 신용등급(S&P기준)이 1997년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S&P 분석에 따르면, 지난 97년 외환위기를 겪은 한국의 경우 빠른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가신용등급이 외환위기 이전으로 회복하지 못한 아시아국가 6개국 중 하나다. 외환위기 당시보다 현재 더 높은 신용등급을 부여받고 있는 국가는 중국과 홍콩 뿐이다. 외환위기 직전인 지난 1997년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AA-로 부여했던 S&P는 외환위기 발발직후 10단계 낮은 B+까지 떨어뜨렸고, 이후 한국의 신용등급은 지속적으로 올랐지만 현재 외환위기 이전보다 두 단계 낮은 수준인 A에 머무르고 있다.
S&P는 또 "한국은 중국, 인도, 싱가포르와 함께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 부채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국가"라며 한국의 계속되는 가계부채 증가를 우려했다. 실제 지난달 28일 한국은행의 ‘2.4분기 가계신용동향’ 발표 결과 신용카드 업계의 경쟁과열과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급증으로 인해 6월말 현재 가계부채가 5백45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S&P는 이밖에 중국과 인도의 경우 강력한 경제성장이 기업부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고, 싱가포르의 부채 증가는 지역의 건강한 성장이 이뤄지는 가운데 핵심금융시장센터로서의 역할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한국과 중국.인도.싱가포르 GDP 대비 민간부채 급증”
5일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S&P는 이날 보고서를 통해 "일부 아시아 국가들의 국가 부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이들 국가의 신용등급(S&P기준)이 1997년 외환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S&P 분석에 따르면, 지난 97년 외환위기를 겪은 한국의 경우 빠른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가신용등급이 외환위기 이전으로 회복하지 못한 아시아국가 6개국 중 하나다. 외환위기 당시보다 현재 더 높은 신용등급을 부여받고 있는 국가는 중국과 홍콩 뿐이다. 외환위기 직전인 지난 1997년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AA-로 부여했던 S&P는 외환위기 발발직후 10단계 낮은 B+까지 떨어뜨렸고, 이후 한국의 신용등급은 지속적으로 올랐지만 현재 외환위기 이전보다 두 단계 낮은 수준인 A에 머무르고 있다.
S&P는 또 "한국은 중국, 인도, 싱가포르와 함께 국내총생산(GDP) 대비 민간 부채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국가"라며 한국의 계속되는 가계부채 증가를 우려했다. 실제 지난달 28일 한국은행의 ‘2.4분기 가계신용동향’ 발표 결과 신용카드 업계의 경쟁과열과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급증으로 인해 6월말 현재 가계부채가 5백45조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S&P는 이밖에 중국과 인도의 경우 강력한 경제성장이 기업부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고, 싱가포르의 부채 증가는 지역의 건강한 성장이 이뤄지는 가운데 핵심금융시장센터로서의 역할을 반영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