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 2개월째 연속 20만명대 하락세
취업자수 증가폭 지지부진에 고용내용도 나빠져
6월 취업자수 증가폭이 5월에 이어 20만명대에 머물면서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였고, 상반기 취업자수 증가폭은 30만명을 조금 웃도는 수준에 그쳐 일자리 창출이 정부 계획보다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취업자수 증가폭이 당초 예상보다 낮아진 데다 고용내용도 악화된 것으로 분석돼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하반기 경제전망을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해질 하반기 고용사정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경제전망 어두운 하반기 고용사정 악화 우려감 증폭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중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2천3백50만1천명으로 1년전보다 1.1%, 25만5천명 증가하는 데 그쳐, 전달인 5월 28만6천명였던 취업자수 증가폭이 지난달에 더욱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들어 월별 취업자수 증가폭은 1월 39만3천명, 2월 32만7천명, 3월 27만2천명, 4월 30만7천명 등으로 상반기 중 3월, 5월, 6월 등 절반의 기간에는 30만명대 아래를 기록했다.
상반기 중 취업자 증가폭은 30만7천명에 그쳐 정부의 상반기 목표치 31만5천명에 못미쳤다.
6월의 성별 취업자수 증가폭을 보면 남자 취업자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만9천7백명(0.4%) 늘어나는 데 그쳤으나 여자는 20만5천5백명(2.1%)이 늘었다. 취업자수는 30대 이상에서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늘었으나 20대 이하에서는 오히려 줄어들어 청년실업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취업자수를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3만1천명(4.8%) 늘었고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은 9만명(4.0%) 증가했다. 그러나 체감경기 지표인 도소매 음식숙박업에서는 취업자수가 3만2천명(0.6%) 줄었고 건설업은 1만5천명(0.8%), 농림어업은 5만명(2.4%), 제조업은 6만8천명(1.6%) 각각 감소했다.
취업시간대별 취업자를 보면 1∼17시간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11.0% 증가한 데 반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달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계절조정 실업률은 3.5%로 전달에 비해 0.1%포인트 상승했지만 실업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2%포인트 떨어진 3.4%를 기록했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8.0%로 1년전에 비해 0.2%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나머지 연령층의 실업률은 30대 2.9%, 40대 2.3%, 50대 1.9%, 60세이상 1.5%로 각각 낮아졌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4백32만명이며 경제활동참가율은 62.7%로 1년전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이처럼 취업자수 증가폭이 당초 예상보다 낮아진 데다 고용내용도 악화된 것으로 분석돼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하반기 경제전망을 고려할 때 더욱 심각해질 하반기 고용사정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경제전망 어두운 하반기 고용사정 악화 우려감 증폭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6월중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수는 2천3백50만1천명으로 1년전보다 1.1%, 25만5천명 증가하는 데 그쳐, 전달인 5월 28만6천명였던 취업자수 증가폭이 지난달에 더욱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올들어 월별 취업자수 증가폭은 1월 39만3천명, 2월 32만7천명, 3월 27만2천명, 4월 30만7천명 등으로 상반기 중 3월, 5월, 6월 등 절반의 기간에는 30만명대 아래를 기록했다.
상반기 중 취업자 증가폭은 30만7천명에 그쳐 정부의 상반기 목표치 31만5천명에 못미쳤다.
6월의 성별 취업자수 증가폭을 보면 남자 취업자수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4만9천7백명(0.4%) 늘어나는 데 그쳤으나 여자는 20만5천5백명(2.1%)이 늘었다. 취업자수는 30대 이상에서는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늘었으나 20대 이하에서는 오히려 줄어들어 청년실업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업종별 취업자수를 보면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이 33만1천명(4.8%) 늘었고 전기.운수.통신.금융업은 9만명(4.0%) 증가했다. 그러나 체감경기 지표인 도소매 음식숙박업에서는 취업자수가 3만2천명(0.6%) 줄었고 건설업은 1만5천명(0.8%), 농림어업은 5만명(2.4%), 제조업은 6만8천명(1.6%) 각각 감소했다.
취업시간대별 취업자를 보면 1∼17시간 취업자는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11.0% 증가한 데 반해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0.9%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달 계절적 요인을 제거한 계절조정 실업률은 3.5%로 전달에 비해 0.1%포인트 상승했지만 실업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0.2%포인트 떨어진 3.4%를 기록했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8.0%로 1년전에 비해 0.2%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나머지 연령층의 실업률은 30대 2.9%, 40대 2.3%, 50대 1.9%, 60세이상 1.5%로 각각 낮아졌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4백32만명이며 경제활동참가율은 62.7%로 1년전에 비해 0.2%포인트 하락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