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C협회, <조선일보>와 '유가부수 조작' 공모
언론노조 "검찰 수사하라" "<중앙>의 사진 연출도 수사해야"
신문 발행·유료부수를 조사해 발표하는 기관인 한국ABC협회가 지난 2002년과 2003년 <조선일보>의 유료부수를 실제보다 부풀려 공식발표한 사실이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광고단가 책정 등의 기본자료인 ABC 자료가 조작됐다는 것은 시장질서를 파괴하는 범죄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ABC협회, <조선일보> 부탁에 유가부수 부풀리기 조작
9일 <경향신문>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한국ABC협회 전 직원 A씨는 8일 “협회 간부들이 유료부수 조사 팀에 <조선일보>에 대한 조사 수치를 조작토록 했다”고 폭로했다.
A씨는 이어 “협회 간부들은 무료 구독자가 유료독자로 전환한 경우 수금 개시일 전 2개월까지만 유료부수로 인정하는 규정을 어기고 3개월까지 유료부수에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조작하기도 했다”며 한국ABC협회 내부 문건을 증거로 제시했다.
문건에 따르면 ABC협회는 <조선일보>가 2002년치 유료부수가 191만4045부라고 신고하자 <조선일보> 지국 30곳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뒤 2003년 5월부터 5개월간 4개 조사팀을 보내 전수 조사를 벌였다.
A씨는 “당시 전수 조사 결과 부수는 <조선일보>가 신고한 부수의 88.7% 수준인 169만9430부로 나왔다”며 “그러나 협회 간부들은 ‘<조선일보> 신고부수의 90%(172만3115부) 수준에 맞춰야 한다’며 협회 조사 부수보다 5만6000여부 많은 175만6193부로 수치를 조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협회 간부들이 지국에 대한 조사 수치를 부풀리고 무료독자의 유료독자 전환 규정 시기를 확대적용토록 조사팀에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ABC협회는 이후 이사회 의결을 거쳐 2003년 10월16일 이를 <조선일보>의 유료부수로 최종 공표했다.
ABC협회는 앞서 2002년에도 2001년치 유료부수 조사를 하면서 같은 방식으로 <조선일보> 유료부수를 부풀린 것으로 드러났다. <조선일보>가 유료부수를 192만9441부로 신고하자 조사결과 부수가 177만5127부임에도 이보다 3만여부를 부풀린 180만6755부를 유료부수로 공표한 것이다.
ABC협회 김모 사무국장은 이에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당시 <조선일보> 실무자가 ABC협회의 조사결과 부수가 <조선일보> 신고 부수의 80%대에 해당하면 입장이 곤란하다고 해 조사대상 지국의 구독료 미수 현황을 살펴 수치를 조정한 것”이라고 조작 사실을 시인했다.
예컨대 유료부수가 2만7320부로 신고된 서울 남구로 지국의 경우 조사 결과 83.5%(2만2815부)밖에 인정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협회는 신고부수의 90% 수준에 맞추기 위해 2만4454부(89.5%)로 조사 부수를 부풀렸다. 협회 내부 문건에 따르면 협회는 2003년의 경우 30개 표본지국 가운데 서울 연희, 갈현, 남구로, 합정, 중부, 인천 용현, 대전 북둔산 등 8개 지국의 조사치를 같은 방식으로 조작하도록 지시했다. 이 가운데 서울 합정과 북둔산지국을 조사한 팀원들은 이 조작지시를 거부해 나머지 6개 지국의 수치만 조작됐다.
2002년에는 서울 가락, 중부, 신제주 등 3개 지국에서 조작이 이뤄졌다. 무료 구독자의 경우 규정상 수금 개시일 전 2개월까지만 유료부수로 인정되지만 3개월까지 준유가 유료부수에 포함시키는 방식도 사용됐다.
한편 문화관광부는 지난해와 올해 이와 관련한 민원이 제기되자 특별감사를 벌여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져, 문광부의 ABC협회 및 <조선일보>에 대한 징계 여부가 주목된다.
언론노조 "검찰, 즉각 수사 착수하라"
ABC협회가 <조선일보>와 유가부수를 조작했다는 <경향> 보도에 대해 언론노조는 즉각 검찰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최성재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와 인터뷰에서 이와 관련, "신문 발행부수는 공인자료이고 신문시장에서 영향력도 평가를 하게 되고 광고단가나 횟수 이런 걸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런 수치들을 조작하고 짜맞추기 해서 자기들 쪽으로 유리하게 만드는 것은 한 마디로 전체 신문시장을 왜곡하는 행태"라며 ABC협회와 <조선일보>를 싸잡아 질타했다.
최 위원장은 "이런 작태들을 멈추지 않으면서 감히 언론의 공공성, 신문의 공익성 이런 부분들을 논의할 수 있겠냐"고 반문한 뒤, "조중동 이런 신문들을 기반으로 해서 통치를 하려고 하면 당연히 지금처럼 불안스런 정국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을 한다. 이 부분은 철저하게 검찰이 수사를 해야 한다"며 검찰의 즉각적 수사 착수를 촉구했다.
그는 이와 함께 <중앙일보>의 미국 쇠고기 식당 '사진 연출' 파문에 대해서도 "전형적인 왜곡 조작"이라며 "외국의 사례 같으면 당연히 신문사 문을 닫아야 될 정도의 사안"이라고 질타한 뒤 마찬가지로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그는 "처음에 그런 사실이 드러나자 기자가 자기가 아니다라고 부인을 했다가 나중에 더 이상 가릴 수 없을 것 같으니까 사과문을 게재를 했는데, 굉장히 악의적"이라며 "얼굴이 보이는 쪽에는 수습기자를 앉혀놓고 마치 지금 쇠고기가 아주 잘 팔리고 있는 것처럼 철저하게 왜곡한 것이다. 이런 자신들의 잘못에 대해서는 얼렁뚱땅 넘어가면서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토씨 하나하나까지 따져가면서 문제제기를 하는 이런 언론을 갖고 있다고 하는 게 정말 저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불행하다고 생각한다"고 거듭 <중앙일보>를 질타했다.
광고단가 책정 등의 기본자료인 ABC 자료가 조작됐다는 것은 시장질서를 파괴하는 범죄적 행위이기 때문이다.
ABC협회, <조선일보> 부탁에 유가부수 부풀리기 조작
9일 <경향신문>의 단독 보도에 따르면, 한국ABC협회 전 직원 A씨는 8일 “협회 간부들이 유료부수 조사 팀에 <조선일보>에 대한 조사 수치를 조작토록 했다”고 폭로했다.
A씨는 이어 “협회 간부들은 무료 구독자가 유료독자로 전환한 경우 수금 개시일 전 2개월까지만 유료부수로 인정하는 규정을 어기고 3개월까지 유료부수에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조작하기도 했다”며 한국ABC협회 내부 문건을 증거로 제시했다.
문건에 따르면 ABC협회는 <조선일보>가 2002년치 유료부수가 191만4045부라고 신고하자 <조선일보> 지국 30곳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한 뒤 2003년 5월부터 5개월간 4개 조사팀을 보내 전수 조사를 벌였다.
A씨는 “당시 전수 조사 결과 부수는 <조선일보>가 신고한 부수의 88.7% 수준인 169만9430부로 나왔다”며 “그러나 협회 간부들은 ‘<조선일보> 신고부수의 90%(172만3115부) 수준에 맞춰야 한다’며 협회 조사 부수보다 5만6000여부 많은 175만6193부로 수치를 조작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협회 간부들이 지국에 대한 조사 수치를 부풀리고 무료독자의 유료독자 전환 규정 시기를 확대적용토록 조사팀에 지시했다”고 덧붙였다. ABC협회는 이후 이사회 의결을 거쳐 2003년 10월16일 이를 <조선일보>의 유료부수로 최종 공표했다.
ABC협회는 앞서 2002년에도 2001년치 유료부수 조사를 하면서 같은 방식으로 <조선일보> 유료부수를 부풀린 것으로 드러났다. <조선일보>가 유료부수를 192만9441부로 신고하자 조사결과 부수가 177만5127부임에도 이보다 3만여부를 부풀린 180만6755부를 유료부수로 공표한 것이다.
ABC협회 김모 사무국장은 이에 <경향신문>과 인터뷰에서 “당시 <조선일보> 실무자가 ABC협회의 조사결과 부수가 <조선일보> 신고 부수의 80%대에 해당하면 입장이 곤란하다고 해 조사대상 지국의 구독료 미수 현황을 살펴 수치를 조정한 것”이라고 조작 사실을 시인했다.
예컨대 유료부수가 2만7320부로 신고된 서울 남구로 지국의 경우 조사 결과 83.5%(2만2815부)밖에 인정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협회는 신고부수의 90% 수준에 맞추기 위해 2만4454부(89.5%)로 조사 부수를 부풀렸다. 협회 내부 문건에 따르면 협회는 2003년의 경우 30개 표본지국 가운데 서울 연희, 갈현, 남구로, 합정, 중부, 인천 용현, 대전 북둔산 등 8개 지국의 조사치를 같은 방식으로 조작하도록 지시했다. 이 가운데 서울 합정과 북둔산지국을 조사한 팀원들은 이 조작지시를 거부해 나머지 6개 지국의 수치만 조작됐다.
2002년에는 서울 가락, 중부, 신제주 등 3개 지국에서 조작이 이뤄졌다. 무료 구독자의 경우 규정상 수금 개시일 전 2개월까지만 유료부수로 인정되지만 3개월까지 준유가 유료부수에 포함시키는 방식도 사용됐다.
한편 문화관광부는 지난해와 올해 이와 관련한 민원이 제기되자 특별감사를 벌여 이 같은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져, 문광부의 ABC협회 및 <조선일보>에 대한 징계 여부가 주목된다.
언론노조 "검찰, 즉각 수사 착수하라"
ABC협회가 <조선일보>와 유가부수를 조작했다는 <경향> 보도에 대해 언론노조는 즉각 검찰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최성재 언론노조 위원장은 이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와 인터뷰에서 이와 관련, "신문 발행부수는 공인자료이고 신문시장에서 영향력도 평가를 하게 되고 광고단가나 횟수 이런 걸 결정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라며 "이런 수치들을 조작하고 짜맞추기 해서 자기들 쪽으로 유리하게 만드는 것은 한 마디로 전체 신문시장을 왜곡하는 행태"라며 ABC협회와 <조선일보>를 싸잡아 질타했다.
최 위원장은 "이런 작태들을 멈추지 않으면서 감히 언론의 공공성, 신문의 공익성 이런 부분들을 논의할 수 있겠냐"고 반문한 뒤, "조중동 이런 신문들을 기반으로 해서 통치를 하려고 하면 당연히 지금처럼 불안스런 정국이 될 수 밖에 없다고 생각을 한다. 이 부분은 철저하게 검찰이 수사를 해야 한다"며 검찰의 즉각적 수사 착수를 촉구했다.
그는 이와 함께 <중앙일보>의 미국 쇠고기 식당 '사진 연출' 파문에 대해서도 "전형적인 왜곡 조작"이라며 "외국의 사례 같으면 당연히 신문사 문을 닫아야 될 정도의 사안"이라고 질타한 뒤 마찬가지로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그는 "처음에 그런 사실이 드러나자 기자가 자기가 아니다라고 부인을 했다가 나중에 더 이상 가릴 수 없을 것 같으니까 사과문을 게재를 했는데, 굉장히 악의적"이라며 "얼굴이 보이는 쪽에는 수습기자를 앉혀놓고 마치 지금 쇠고기가 아주 잘 팔리고 있는 것처럼 철저하게 왜곡한 것이다. 이런 자신들의 잘못에 대해서는 얼렁뚱땅 넘어가면서 다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토씨 하나하나까지 따져가면서 문제제기를 하는 이런 언론을 갖고 있다고 하는 게 정말 저는 우리나라 국민들이 불행하다고 생각한다"고 거듭 <중앙일보>를 질타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