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한-미정상회담, 라이스 국무장관 7월 방한
北미사일-핵 위기 이견 해소 여부 주목돼
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오는 9월 워싱턴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경주회담이래 10개월만의 재회동이다. 이에 앞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내달 방한할 예정이어서,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위기를 둘러싼 한-미 양국간 의견조율 결과가 주목된다.
송민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은 23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양국간에 몇달전부터 정상회담 일정을 협의해왔다"며 "9월 정도에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갖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송 실장은 내달초 한미 정상회담의 구체적 일정과 의제 조율을 위해 워싱턴을 방문,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미국 외교정책 당국자들을 만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콘돌리사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방한해 노 대통려을 비롯해 반기문 외교장관 등을 만나 북한 미사일 위기, 6차회담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당초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현재 한-미 양국간 최대쟁점인 북핵-미사일 문제를 필두로 한국군의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및 미군기지 이전 문제 등 동맹 현안을 논의하는 동시에, 최대 현안인 한미FTA(자유무역협정)의 조기타결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경주회담에서는 부시대통령의 북한 위폐 문제 제기로 갈등을 빚은 바 있어,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위기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현시점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과연 어떤 협상결과가 도출될지 주목된다.
송민순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은 23일 오전 브리핑을 통해 "양국간에 몇달전부터 정상회담 일정을 협의해왔다"며 "9월 정도에 워싱턴에서 정상회담을 갖는 것으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송 실장은 내달초 한미 정상회담의 구체적 일정과 의제 조율을 위해 워싱턴을 방문, 스티븐 해들리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미국 외교정책 당국자들을 만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콘돌리사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방한해 노 대통려을 비롯해 반기문 외교장관 등을 만나 북한 미사일 위기, 6차회담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당초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현재 한-미 양국간 최대쟁점인 북핵-미사일 문제를 필두로 한국군의 전시작전통제권 환수 및 미군기지 이전 문제 등 동맹 현안을 논의하는 동시에, 최대 현안인 한미FTA(자유무역협정)의 조기타결 문제도 거론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해 11월 경주회담에서는 부시대통령의 북한 위폐 문제 제기로 갈등을 빚은 바 있어, 북한의 대포동 미사일 위기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현시점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서 과연 어떤 협상결과가 도출될지 주목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