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친 소도 모자라 이젠 뉴질랜드 암소까지...”
한미FTA농축수산 대책위 뉴질랜드 암소 수입 중단 촉구
미국산 쇠고기 수입 재개 논란에 이어 민간차원에서 뉴질랜드산 암소 수입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관련단체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한미FTA저지 농축수산비상대책위원회와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20일 오전 서울 광화문 뉴질랜드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산 쇠고기, 뉴질랜드산 암소 수입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최근 우리나라 쇠고기 유통구조의 헛점을 이용해 한우와 외모가 유사한 뉴질랜드산 리무진 암소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며 "이는 한우로 둔갑판매돼 다수의 소비자를 우롱하고 한우와의 교배를 통해 한우의 순수 혈통의 혼란을 초래해 한우 산업 전체의 붕괴를 낳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내 유통체계로는 한우, 뉴질랜드산 감별 어려워
실제로 뉴질랜드산 리무진 암소는 한우와 색깔이 비슷해 한우와 교배가 이뤄질 경우 송아지의 한우 감별이 쉽지 않아 한우 시장에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음식점원산지표시제나 생산이력제 등 식품유통과정 전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통시스템이 정착되지 않은 국내 상황에서 이를 악용해 수입산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할 여지가 큰 상황.
하지만 한국과 뉴질랜드 사이의 수입위생조건에는 암수 구분 없이 소를 도입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 뉴질랜드산 암소 도입을 막을 방법은 없다.
수년간의 실효성 논란을 거쳐 2007년부터 중.대형 음식점에 도입되는 ‘음식적 식육 원산지 표지제도’ 또한 한우와 수입 소의 교배로 태어난 송아지에 대한 원산지 표시 규정은 따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축산단체들은 “음식점원산지표시제나 생산이력제 등의 정착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와 생산자를 안정시킨 후에 수입산 쇠고기의 수입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미국산 쇠고기와 뉴질랜드산 암소 도입의 중단을 반대하고 나선 것.
축산단체 “30일 과천 정부청사 앞 규탄대회 등 투쟁 강도 높일 것”
최영렬 대한양돈협회 회장은 생산이력제 도입을 통해 국내 축산업을 보호한 일본의 사례를 들며 “우리나라 한우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유통질서 등 모든 부분에서 준비한 후에 개방해도 늦지 않다”고 강조했다.
문경식 전농의장도 “모든 농산물이 개방돼 농업이 붕괴되는 상황에서도 그나마 한우 브랜드가 농촌경제를 지켜내고 있다”며 “마지막 남은 한우산업마저 망가지는 것을 도외시하는 정부는 어느나라 정부인가”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로 인해 국내 축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한우 유전자의 씨를 말리기 위해 추진되는 뉴질랜드 암소 수입은 수십년간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온 한우 혈통 보전의 개량사업 붕괴를 통해 한우 산업의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참가자들은 기자회견이 끝난 후 뉴질랜드 대사관에 뉴질랜드산 암소 수출에 대한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이들 단체는 오는 30일 농림부가 소재한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규탄대회를 갖고 7월 12일에는 한미 FTA 규탄대회와 연계해 투쟁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한미FTA저지 농축수산비상대책위원회와 축산관련단체협의회는 20일 오전 서울 광화문 뉴질랜드 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산 쇠고기, 뉴질랜드산 암소 수입 중단'을 촉구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최근 우리나라 쇠고기 유통구조의 헛점을 이용해 한우와 외모가 유사한 뉴질랜드산 리무진 암소의 도입이 추진되고 있다"며 "이는 한우로 둔갑판매돼 다수의 소비자를 우롱하고 한우와의 교배를 통해 한우의 순수 혈통의 혼란을 초래해 한우 산업 전체의 붕괴를 낳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국내 유통체계로는 한우, 뉴질랜드산 감별 어려워
실제로 뉴질랜드산 리무진 암소는 한우와 색깔이 비슷해 한우와 교배가 이뤄질 경우 송아지의 한우 감별이 쉽지 않아 한우 시장에 혼란을 가져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음식점원산지표시제나 생산이력제 등 식품유통과정 전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통시스템이 정착되지 않은 국내 상황에서 이를 악용해 수입산 쇠고기가 한우로 둔갑할 여지가 큰 상황.
하지만 한국과 뉴질랜드 사이의 수입위생조건에는 암수 구분 없이 소를 도입할 수 있어 현실적으로 뉴질랜드산 암소 도입을 막을 방법은 없다.
수년간의 실효성 논란을 거쳐 2007년부터 중.대형 음식점에 도입되는 ‘음식적 식육 원산지 표지제도’ 또한 한우와 수입 소의 교배로 태어난 송아지에 대한 원산지 표시 규정은 따로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축산단체들은 “음식점원산지표시제나 생산이력제 등의 정착을 통해 소비자의 신뢰와 생산자를 안정시킨 후에 수입산 쇠고기의 수입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며 미국산 쇠고기와 뉴질랜드산 암소 도입의 중단을 반대하고 나선 것.
축산단체 “30일 과천 정부청사 앞 규탄대회 등 투쟁 강도 높일 것”
최영렬 대한양돈협회 회장은 생산이력제 도입을 통해 국내 축산업을 보호한 일본의 사례를 들며 “우리나라 한우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유통질서 등 모든 부분에서 준비한 후에 개방해도 늦지 않다”고 강조했다.
문경식 전농의장도 “모든 농산물이 개방돼 농업이 붕괴되는 상황에서도 그나마 한우 브랜드가 농촌경제를 지켜내고 있다”며 “마지막 남은 한우산업마저 망가지는 것을 도외시하는 정부는 어느나라 정부인가”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미국산 쇠고기 수입재개로 인해 국내 축산업이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에서 한우 유전자의 씨를 말리기 위해 추진되는 뉴질랜드 암소 수입은 수십년간 국책사업으로 추진해온 한우 혈통 보전의 개량사업 붕괴를 통해 한우 산업의 위기를 초래할 것”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참가자들은 기자회견이 끝난 후 뉴질랜드 대사관에 뉴질랜드산 암소 수출에 대한 항의서한을 전달했다.
이들 단체는 오는 30일 농림부가 소재한 과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규탄대회를 갖고 7월 12일에는 한미 FTA 규탄대회와 연계해 투쟁을 계속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