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호 장관 "盧임명 산하기관장들 사퇴하라"
산하기관장들 자퇴 요구에 술렁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와 유인촌 문화관광부 장관에 이어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도 12일 노무현 정권에서 임명된 산하 공공기관장들의 퇴진을 촉구했다.
이윤호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참여정권 인사들의 퇴진을 촉구한 안 대표의 발언에 대해 "일면 타당성이 있다"며 "코드가 다른 사람들이 임기가 남았다고 해서 전부 임기가 끝날 때까지 있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산하기관장 가운데 정치권 인사 외에 공무원 등 비(非)정치권 출신으로 공모로 뽑힌 인사들도 퇴진 대상이 되느냐는 질문에 대해 "아직 기준이 정해진 것은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지식경제부는 "장관 발언은 어디까지나 원칙론적인 이야기를 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한편 이 장관은 고유가 대책과 관련해선 "우리 국민들이 에너지 문제에 대해 조금 더 민감할 필요가 있고 조금 더 (정책적) 드라이브가 있어야 한다"면서도, 서머타임제나 자동차 요일제의 확대실시 등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국민들의 컨센서스가 있어야 검토할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정부가 물가대책의 하나로 하반기 가정용 전기료의 인하를 검토하기로 한 데 대해 "인하는 확정된 것이 아니며 (연료비 급등 등을 감안해서) 전기료를 올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혔다.
이윤호 장관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참여정권 인사들의 퇴진을 촉구한 안 대표의 발언에 대해 "일면 타당성이 있다"며 "코드가 다른 사람들이 임기가 남았다고 해서 전부 임기가 끝날 때까지 있는 것은 곤란하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산하기관장 가운데 정치권 인사 외에 공무원 등 비(非)정치권 출신으로 공모로 뽑힌 인사들도 퇴진 대상이 되느냐는 질문에 대해 "아직 기준이 정해진 것은 없다"고 즉답을 피했다.
지식경제부는 "장관 발언은 어디까지나 원칙론적인 이야기를 한 것"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한편 이 장관은 고유가 대책과 관련해선 "우리 국민들이 에너지 문제에 대해 조금 더 민감할 필요가 있고 조금 더 (정책적) 드라이브가 있어야 한다"면서도, 서머타임제나 자동차 요일제의 확대실시 등 구체적 방안에 대해서는 "국민들의 컨센서스가 있어야 검토할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다.
그는 정부가 물가대책의 하나로 하반기 가정용 전기료의 인하를 검토하기로 한 데 대해 "인하는 확정된 것이 아니며 (연료비 급등 등을 감안해서) 전기료를 올려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사실상 반대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