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운하 스케줄 없다. 민간 손에 달려"
"일부 언론 보면 안된다는 전제하에서 보도" 비판도
이명박 대통령당선인은 14일 논란이 되고 있는 한반도 대운하 추진 여부와 관련, "정부는 스케줄을 갖고 있지 않다"며 한나라당과 인수위의 취임 1년후 착공 강행 주장을 부인했다.
이 당선인은 이날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운하와 관련, "어떠한 민주국가에서도 특히 중요한 새로운 사업에는 반대가 있을 수 있다"며 "그러나 반대를 위한 반대도 있을 수 있다. 일부 언론에 보면 안된다는 전제하에 보도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며 일부 언론보도에 불만을 표시했다.
이 당선인은 이어 "운하 문제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할 수는 없다. 정부 예산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일방적으로 할 여건이 아니다"라며 "이것은 100% 민자 사업이기 때문에 민자로 하겠다는 사람이 당장 나올지 2∼3년 후에 나올지 투자자들이 검토해서 제안이 들어올 때 제안이 들어오면 정부는 사업 타당성이나 또는 환경영향 평가와 같은 절차를 완벽하게 해서 만들어 가는 것이다. (운하 건설은) 민간의 손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스케줄이 없다는 것을 이해해 달라. 민자로 하는 것은 정부가 자체로 가진 스케줄이 없다"며 "국민적 납득과 합의, 이것을 매우 중요시한다"며 국민적 합의에 기초해 대운하를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 당선인은 이날 신년 기자회견에서 대운하와 관련, "어떠한 민주국가에서도 특히 중요한 새로운 사업에는 반대가 있을 수 있다"며 "그러나 반대를 위한 반대도 있을 수 있다. 일부 언론에 보면 안된다는 전제하에 보도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며 일부 언론보도에 불만을 표시했다.
이 당선인은 이어 "운하 문제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할 수는 없다. 정부 예산으로 하지 않기 때문에 정부가 일방적으로 할 여건이 아니다"라며 "이것은 100% 민자 사업이기 때문에 민자로 하겠다는 사람이 당장 나올지 2∼3년 후에 나올지 투자자들이 검토해서 제안이 들어올 때 제안이 들어오면 정부는 사업 타당성이나 또는 환경영향 평가와 같은 절차를 완벽하게 해서 만들어 가는 것이다. (운하 건설은) 민간의 손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는 스케줄이 없다는 것을 이해해 달라. 민자로 하는 것은 정부가 자체로 가진 스케줄이 없다"며 "국민적 납득과 합의, 이것을 매우 중요시한다"며 국민적 합의에 기초해 대운하를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