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원들, 의정비 대폭 인상 이어 개인연구실 요구
일부 구 수십억원 들여 연구실 설치
의정비를 대폭 인상했던 서울의 시의원 및 일부 구 의원들이 개인연구실을 요구하고, 일부 구는 이들 요구에 따라 개인연구실을 실제 만들어줘 혈세 낭비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25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마포구의회는 지난달 열린 제132회 정례회에서 내년 9월 완공 예정인 종합행정타운에 의원 개인연구실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의정활동 준비와 방문객 접견을 위한 개별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
이에 따라 10억여원을 들여 청사를 증축한 송파구의회는 내년 1월 중순께 의원 연구실을 구의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강서구의회도 지난 4월 의원 연구실을 마련하기 위한 공사에 착수, 12월 현재 의원별로 책상, 책장, 쇼파, 탁자 등을 갖춘 16㎡ 정도 면적의 연구실을 갖췄다.
작년 제주도의회의 경우 개원을 앞두고 의원 5명당 사무실을 1개씩 배정키로 하고 2천9백만원을 들여 의회 내부공사를 마쳤으나 의원들이 ‘1인 1실’을 요구, 다시 5천6백만원을 들여 개조공사를 하기도 했다.
서울시 역시 작년 의회 개원을 앞두고 50억원을 들여 별관 2동 7, 8층(연면적 1천3백81평)을 리모델링해 기존에 사무실이 있던 의장단을 제외한 나머지 의원 92명에게 각각 8평 규모의 연구실을 제공하고 인턴직원 1명씩을 배치하는 등 대폭적인 처우개선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두 차례 임시회에서 의원들이 처리한 의안건수는 48건에 불과하며, 그중 의원발의는 3건, 상임위원회 3건에 불과하고 시장이 제출한 조례안이 13건을 차지해 '일하지 않고 돈과 연구실 및 외유만 신경쓴다'는 '유전무로(有錢無勞)' 비난이 급등했었다.
특히 행정자치부의 표준 설계면적기준에 따르면 구의회 청사에는 의장·부의장·위원장에게만 사무실이 배정돼 있을 뿐 의원 연구실은 설치할 수 없으나, 이들은 비판 여론에도 불구하고 의정비 인상을 강행한 데 이어 또다시 수억원의 혈세를 들여 개인연구실 마련에 나서고 있어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실제 마포구의 경우 구의회의 요구에 '관련 규정이 없어 현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구의회는 조례를 개정해서라도 의원 연구실을 마련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라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마포구의회는 최근 내년도 의정비를 5천5백만원으로 올해 대비 45%나 인상했고, 송파구의회도 올해 3천7백20만원에서 내년 5천7백만원으로 53%, 강서구의회도 올해 3천5백20만원에서 내년 5천6백88만원으로 62%를 인상하는 등 서울 25개 자치구의회가 내년 연봉을 4천2백36만∼5천7백만원 사이에서 최종 결정했었다.
회사원 김모씨(38·여)는 "최근 구의원 등 지방의원들이 입법활동 등에는 나서지 않으면서도 남미.미국 등 호화외유를 나서고, 자신들의 의정비를 물가상승률보다 수십배인 50-60%나 대폭 인상하는 도덕적 해이를 보인 데다 국민의 혈세를 들여 개인 연구실까지 요구하다니 참으로 한심하다"고 비난했다.
25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마포구의회는 지난달 열린 제132회 정례회에서 내년 9월 완공 예정인 종합행정타운에 의원 개인연구실을 마련해 달라고 요구했다. 의정활동 준비와 방문객 접견을 위한 개별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
이에 따라 10억여원을 들여 청사를 증축한 송파구의회는 내년 1월 중순께 의원 연구실을 구의원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강서구의회도 지난 4월 의원 연구실을 마련하기 위한 공사에 착수, 12월 현재 의원별로 책상, 책장, 쇼파, 탁자 등을 갖춘 16㎡ 정도 면적의 연구실을 갖췄다.
작년 제주도의회의 경우 개원을 앞두고 의원 5명당 사무실을 1개씩 배정키로 하고 2천9백만원을 들여 의회 내부공사를 마쳤으나 의원들이 ‘1인 1실’을 요구, 다시 5천6백만원을 들여 개조공사를 하기도 했다.
서울시 역시 작년 의회 개원을 앞두고 50억원을 들여 별관 2동 7, 8층(연면적 1천3백81평)을 리모델링해 기존에 사무실이 있던 의장단을 제외한 나머지 의원 92명에게 각각 8평 규모의 연구실을 제공하고 인턴직원 1명씩을 배치하는 등 대폭적인 처우개선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두 차례 임시회에서 의원들이 처리한 의안건수는 48건에 불과하며, 그중 의원발의는 3건, 상임위원회 3건에 불과하고 시장이 제출한 조례안이 13건을 차지해 '일하지 않고 돈과 연구실 및 외유만 신경쓴다'는 '유전무로(有錢無勞)' 비난이 급등했었다.
특히 행정자치부의 표준 설계면적기준에 따르면 구의회 청사에는 의장·부의장·위원장에게만 사무실이 배정돼 있을 뿐 의원 연구실은 설치할 수 없으나, 이들은 비판 여론에도 불구하고 의정비 인상을 강행한 데 이어 또다시 수억원의 혈세를 들여 개인연구실 마련에 나서고 있어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실제 마포구의 경우 구의회의 요구에 '관련 규정이 없어 현실상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구의회는 조례를 개정해서라도 의원 연구실을 마련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이라고 관계자들은 전했다.
마포구의회는 최근 내년도 의정비를 5천5백만원으로 올해 대비 45%나 인상했고, 송파구의회도 올해 3천7백20만원에서 내년 5천7백만원으로 53%, 강서구의회도 올해 3천5백20만원에서 내년 5천6백88만원으로 62%를 인상하는 등 서울 25개 자치구의회가 내년 연봉을 4천2백36만∼5천7백만원 사이에서 최종 결정했었다.
회사원 김모씨(38·여)는 "최근 구의원 등 지방의원들이 입법활동 등에는 나서지 않으면서도 남미.미국 등 호화외유를 나서고, 자신들의 의정비를 물가상승률보다 수십배인 50-60%나 대폭 인상하는 도덕적 해이를 보인 데다 국민의 혈세를 들여 개인 연구실까지 요구하다니 참으로 한심하다"고 비난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