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트럼프 관세' 피해기업에 267조 금융지원

트럼프 관세로 금융권 리스크도 급증

미국의 관세 조치로 인한 국내 기업 피해를 줄이기 위해 내년까지 총 267조원 규모의 정책·민간금융 지원이 이뤄진다.

금융위원회는 3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5대 금융지주와 정책금융기관 등을 소집해 미국 상호관세 부과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024110] 등 정책금융기관은 관세 위기에 대응해 내년까지 총 172조1천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올해 들어 이미 63조원이 공급됐다.

지원 분야는 경영애로 해소(36조3천억원), 수출 다변화(33조3천억원), 산업 경쟁력 강화(91조5천억원), 사업재편 기업 지원(11조원) 등 4대 분야다.

관세 피해 중소·중견기업에 긴급 경영 자금을 지원하는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위기대응지원 특별프로그램' 등이 대표적이다.

산은은 지원 대상을 관세 피해기업에서 수출 다변화 기업까지 확대하고, 지원 한도도 10배 증액(중견 50억→500억·중소 30억→300억)하기로 했다. 적용 금리도 기존 최저금리 대비 0.2%포인트 인하에서 0.5%포인트 인하까지 더 낮춘다.

수출입은행도 지원 대상을 신용등급 열위 기업에서 전체 중소기업으로 확대·개편하고, 최대 2.0%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제공하기로 했다.

5대 금융지주는 내년까지 총 95조원을 지원한다. 연초부터 지난 달 말까지 공급된 규모는 약 45조원이다.

지원 프로그램은 금리 부담 경감, 수출·공급망 지원, 혁신성장 지원, 대기업 상생 대출 등까지 다양하게 구성됐다.

금융위와 한국자산관리공사는 수출 기반 주력 산업의 사업재편 및 재무 건전성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 조성도 추진한다.

펀드 지원 대상은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반도체, 이차전지, 디스플레이 산업의 구조조정 대상 기업이다.

원활한 민간투자 유치를 위해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펀드 대비 확대(5%→10%)하고, 펀드 조성 금액의 60% 이상을 주력 산업에 투자한다.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금융지원이 단순히 생존을 지원하는 것을 넘어 피해기업이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도록 든든한 기반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