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회장 "AI, 증기기관 발명에 비견…산업 지형 바꿀 것"
"연착륙 가능성, 시장기대보다 낮을 것…인플레·고금리 위험 대비해야"
미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회장은 8일(현지시간) 주주에게 보내는 연례 서한에서 인공지능(AI)을 산업혁명을 가져온 증기기관의 발명에 비유하며 산업 지형을 바꿔놓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이먼 회장은 이날 공개한 서한에서 "AI가 가져올 결과는 인쇄술, 증기기관, 전기, 컴퓨터, 인터넷 등 과거 수백 년간 이뤄온 주요 기술의 발명만큼이나 혁신적이고 놀라울 것이라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AI가 우리 산업을 얼마나 크게, 얼마나 빨리 바꿀지 알 수 없고, 또한 우리 사회 전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알기는 어렵다"라고 전제한 뒤 이처럼 밝혔다.
'월가의 황제'로도 불리는 다이먼 회장은 매년 주주 서한에서 다양한 경제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왔는데, 올해는 첫 번째 주요 이슈로 AI의 영향을 꼽은 것이다.
다이먼 회장은 JP모건체이스가 현재 2천명이 넘는 AI 및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가를 고용했으며 AI 기술을 마케팅, 사기 및 위험 감지 등 400개 이상의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나아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고객서비스 분야는 물론 전 직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생성형 AI가 실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탐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이먼 회장은 "시간이 지나면 AI 사용이 사실상 모든 일을 보강하고 회사의 인력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기대한다"며 "특정 직종이나 역할이 줄어들 수 있겠지만 다른 직종이 생겨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이먼 회장은 물가 상승압력이 다시 거세질 수 있다며 그에 따른 위험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이먼 회장은 "물가 지표를 포함해 많은 주요 경제지표가 현재 호조를 나타내는 데다 앞으로도 더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앞을 내다보면 물가 상승에 압력을 가할 요인들이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말했다.
그러면서 지속적인 재정지출, 재무장화, 세계무역질서 재편, 녹색경제 자본 수요, 에너지 인프라 투자 부족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가능성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현재 미 증시와 회사채 시장은 과도한 낙관론에 기반해 고평가돼 있다고 진단했다.
다이먼 회장은 "대부분 평가척도에서 현재 주가는 평가가치 범주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고, 회사채 스프레드(회사채와 미 국채와의 수익률 차이) 또한 극도로 작아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시장은 경제 연착륙 가능성을 70∼80%로 반영하고 있는데, 제가 보기에 그 확률은 그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다이먼 회장은 "만약 장기채 금리가 6% 이상으로 상승하고, 경기침체까지 수반한다면 은행 시스템뿐만 아니라 부채가 많은 기업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채권 수익률이 2%포인트가량 상승할 경우 주식 등 금융자산 가치가 20%가량 하락하고, 오피스 부동산 시장은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다이먼 회장은 현재 국제질서를 개편할 필요가 있으며 '새 브레턴우즈 체제'가 필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 2차대전 종식 후 성립된 브레턴우즈 체제는 미국 달러를 기축통화로 떠받치며 미국에 세계 경제 패권을 쥐여준 것으로 평가받는 체제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은 브레턴우즈 체제를 떠받치는 핵심 기관으로 여겨진다.
다이먼 회장은 "2차대전 후 서방이 구축한 규칙에 기반을 둔 국제질서는 자체적인 실패와 복잡해진 세계를 따라가지 못해 외부 세력의 공격을 받고 있으며 점점 더 약화하고 있다"며 "지금이 바로 브레턴우즈 체제를 재구상할 적기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다이먼 회장은 이날 공개한 서한에서 "AI가 가져올 결과는 인쇄술, 증기기관, 전기, 컴퓨터, 인터넷 등 과거 수백 년간 이뤄온 주요 기술의 발명만큼이나 혁신적이고 놀라울 것이라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그는 "AI가 우리 산업을 얼마나 크게, 얼마나 빨리 바꿀지 알 수 없고, 또한 우리 사회 전반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알기는 어렵다"라고 전제한 뒤 이처럼 밝혔다.
'월가의 황제'로도 불리는 다이먼 회장은 매년 주주 서한에서 다양한 경제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내왔는데, 올해는 첫 번째 주요 이슈로 AI의 영향을 꼽은 것이다.
다이먼 회장은 JP모건체이스가 현재 2천명이 넘는 AI 및 데이터 사이언스 전문가를 고용했으며 AI 기술을 마케팅, 사기 및 위험 감지 등 400개 이상의 업무에 적용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나아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고객서비스 분야는 물론 전 직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생성형 AI가 실현할 수 있는 잠재력을 탐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이먼 회장은 "시간이 지나면 AI 사용이 사실상 모든 일을 보강하고 회사의 인력 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기대한다"며 "특정 직종이나 역할이 줄어들 수 있겠지만 다른 직종이 생겨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다이먼 회장은 물가 상승압력이 다시 거세질 수 있다며 그에 따른 위험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이먼 회장은 "물가 지표를 포함해 많은 주요 경제지표가 현재 호조를 나타내는 데다 앞으로도 더 좋아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앞을 내다보면 물가 상승에 압력을 가할 요인들이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말했다.
그러면서 지속적인 재정지출, 재무장화, 세계무역질서 재편, 녹색경제 자본 수요, 에너지 인프라 투자 부족에 따른 에너지 가격 상승 가능성 등을 위험 요인으로 꼽았다.
현재 미 증시와 회사채 시장은 과도한 낙관론에 기반해 고평가돼 있다고 진단했다.
다이먼 회장은 "대부분 평가척도에서 현재 주가는 평가가치 범주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고, 회사채 스프레드(회사채와 미 국채와의 수익률 차이) 또한 극도로 작아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재 시장은 경제 연착륙 가능성을 70∼80%로 반영하고 있는데, 제가 보기에 그 확률은 그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생각한다"라고 말했다.
다이먼 회장은 "만약 장기채 금리가 6% 이상으로 상승하고, 경기침체까지 수반한다면 은행 시스템뿐만 아니라 부채가 많은 기업에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게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채권 수익률이 2%포인트가량 상승할 경우 주식 등 금융자산 가치가 20%가량 하락하고, 오피스 부동산 시장은 타격이 더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다이먼 회장은 현재 국제질서를 개편할 필요가 있으며 '새 브레턴우즈 체제'가 필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세계 2차대전 종식 후 성립된 브레턴우즈 체제는 미국 달러를 기축통화로 떠받치며 미국에 세계 경제 패권을 쥐여준 것으로 평가받는 체제다.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은 브레턴우즈 체제를 떠받치는 핵심 기관으로 여겨진다.
다이먼 회장은 "2차대전 후 서방이 구축한 규칙에 기반을 둔 국제질서는 자체적인 실패와 복잡해진 세계를 따라가지 못해 외부 세력의 공격을 받고 있으며 점점 더 약화하고 있다"며 "지금이 바로 브레턴우즈 체제를 재구상할 적기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