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계 두번째로 인조인간로봇 개발
인조인간 ‘에버원’ 4백단어 이해하고 대화도 가능
사람과 똑같이 희로애락을 나타내고 4백단어를 이해할 수 있는 인조인간 로봇이 한국에서 세계에서 두번째로 개발됐다. 세계 최초의 인조인간 로봇은 3년전인 2003년 일본이 개발했었다.
산업자원부는 4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어린이 60여명을 초청한 가운데 국내 최초의 인조인간 로봇인 '에버원'(EveR-1:이브(Eve)와 로봇(Robot)의 합성어)을 공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1년여에 걸쳐 개발한 에버원은 키 1백60㎝에 몸무게 50㎏으로, 우리나라 20대 초반 여성 연예인의 얼굴과 신체 특징을 가진 로봇이다.
안드로이드(Android)로 불리는 인조인간 로봇 에버원은 상반신을 움직이고 외모와 행동, 희로애락의 감정 표현도 사람과 비슷하게 할 수 있다. 하반신은 아직 움직일 수 없는 기계 상태의 마네킹으로 구성돼있다.
희로애락의 감정 표현...시선 맞추기와 간단한 대화도 가능
에버원은 실제 여성의 얇은 팔과 작은 얼굴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 35개의 초소형 모터와 제어기를 사용, 이를 각각 제어하는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한 것으로 산자부는 국내 로봇 기술이 이미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얼굴에는 15개의 모터가 들어가 희로애락의 표정을 지을 수 있고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해 시선 맞추기가 가능하며 음성과 입술이 동기화돼 간단한 대화도 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단어는 4백개 수준이다. 또한 실리콘 재질로 사람의 피부와 같은 감촉을 재현했다.
산자부는 일본의 세계 최초(2003년) 인조인간 로봇 '액트로이드'(Actroid)가 영상인식용 카메라를 외부에 설치한 데 반해 에버원은 이를 안구에 직접 설치했고 적은 수의 모터로 더 자연스러운 감정 표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에버원은 여자 연예인 얼굴 2명을 합성해 수정하고 상반신도 연예인을 모델로 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행사에는 에버원 외에 10종의 엔터테인먼트 로봇이 출연해 계단 오르기, 춤추기, 변신 등의 장기를 선보였다.
한국 2012년부터 로봇제품 해외 보급해 세계시장 선도 야심
산자부는 '에버원'을 토대로 인조인간 로봇을 내년중 상용화하겠다는 방침 아래 박물관, 백화점 등의 안내 서비스나 구연동화 등 교육분야 서비스에 활용하는 한편 로봇 개발 기술 중 일부를 응용, 영화 특수효과까지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각 인식, 감성표현, 대화 성능 등이 강화된 시리즈를 개발해 나가기로 하고 연말께 '에버투(EveR-2)'를 내놓을 예정이다.
산자부는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 10월18~22일 서울 코엑스에서 로봇 전시회와 경진대회, 학술대회 등을 진행하는 국내 최초의 국제규모 로봇전문전인 '로보월드 2006'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행사에는 소방로봇, 감시로봇 등 새로 개발된 26종의 로봇이 선보이고 8백50여개팀이 참여한 로봇 경진대회가 벌어져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이날 주식시장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인조인간 로봇이 선을 보였다는 소식에 야호, 유진로봇, 다스텍 등 로봇관련주들이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일본 2003년 첫 인조인간 개발 후 잇달아 신제품 내놓고 산업 선도
인조인간 로봇의 로봇(Robot)이란 말의 어원은 ‘일한다’라는 뜻의 체코어인 ROBOTA에서 유래했다. 체코슬로바키아 극작가 K 차페크가 희곡 <로섬의 인조인간>을 발표하며 로봇이 세계인들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이다.
이후 1927년 미국 웨스팅 하우스 전기회사 기사인 R J 웬즐리가 만든 <텔레복스>로 기계와 전기 기술을 활용해 전화응답 등 초보적인 기능을 수행했고, 이후 산업용, 의료용, 우주용, 해저용 로봇이 개발돼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인조인간 로봇에서 가장 앞서가는 나라는 일본. 전세계에서 가동 중인 약 80만 대의 산업용 로봇 중에서 절반에 가까운 약 35만 대의 로봇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로봇의 약 60%를 생산하는 등 산업용 로봇 시장을 주도해 오고 있다.
일본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장난감 로봇과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인 이족 보행 로봇에서 상당한 기술력 인정을 받았으며, 일부 상품의 경우에 연구 수준에 이어서 시장화에 성공을 거두고 있다. 장난감 로봇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1999년에 처음 출시된 소니의 강아지 로봇인 AIBO를 들 수 있으며, 이후 소니는 음성 인식 및 영상 인식 기능, 표현 능력 등을 차례로 향상시킨 제품을 출시했다.
일본 인조인간 로봇 연구의 세계적인 학자인 이시구로 히로시(石黑浩) 일본 오사카 대학 이시구로 히로시 교수는 지난해 말랑말랑한 실리콘 피부와 여러개의 센서와 모터를 갖춰 뒤를 돌아보거나 인간처럼 반응하고, 눈꺼풀을 깜빡이거나 손을 인간처럼 움직이고 숨쉬는 것처럼 보이는 여자 인조인간 로봇 ‘레플리 Q1'을 개발해 화제를 모았다.
국내에서는 KIST, LG전자 등이 다양한 로봇을 만들면서 기술력을 축적해왔다. 이라크 파병 당시에는 KIST가 만든 로페즈라는 로봇이 파견돼 우리장병들과 함께 임무를 무사히 수행하고 귀환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LG전자는 지난 2003년 3백만원대의 고가 청소로봇 `로보킹'을 선보인데 이어 1백만원대로 가격을 낮춘 후속기종 `로보킹 2'을 지난해 말 출시했다.
유진로보틱스도 30만원대 청소로봇 ‘아이클레보’을 판매하고 있으며 조만간 성능이 업그레이드 된 로봇을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정부는 로봇산업 활성화의 1단계로 2007년까지 지능형 로봇육성을 위한 추진체제를 갖추고, 레고형 기술개발로 저가·고기능 로봇을 구현하는 등 핵심기술을 확보한 뒤,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표준정립 및 플랫폼 보급으로 로봇기술을 대중화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어 3단계인 2012년부터는 제품보급 및 확산을 통해 세계시장을 선도한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4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교육문화회관에서 어린이 60여명을 초청한 가운데 국내 최초의 인조인간 로봇인 '에버원'(EveR-1:이브(Eve)와 로봇(Robot)의 합성어)을 공개했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1년여에 걸쳐 개발한 에버원은 키 1백60㎝에 몸무게 50㎏으로, 우리나라 20대 초반 여성 연예인의 얼굴과 신체 특징을 가진 로봇이다.
안드로이드(Android)로 불리는 인조인간 로봇 에버원은 상반신을 움직이고 외모와 행동, 희로애락의 감정 표현도 사람과 비슷하게 할 수 있다. 하반신은 아직 움직일 수 없는 기계 상태의 마네킹으로 구성돼있다.
희로애락의 감정 표현...시선 맞추기와 간단한 대화도 가능
에버원은 실제 여성의 얇은 팔과 작은 얼굴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 35개의 초소형 모터와 제어기를 사용, 이를 각각 제어하는 기술적 어려움을 극복한 것으로 산자부는 국내 로봇 기술이 이미 세계적 수준으로 도약한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얼굴에는 15개의 모터가 들어가 희로애락의 표정을 지을 수 있고 상대방의 얼굴을 인식해 시선 맞추기가 가능하며 음성과 입술이 동기화돼 간단한 대화도 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단어는 4백개 수준이다. 또한 실리콘 재질로 사람의 피부와 같은 감촉을 재현했다.
산자부는 일본의 세계 최초(2003년) 인조인간 로봇 '액트로이드'(Actroid)가 영상인식용 카메라를 외부에 설치한 데 반해 에버원은 이를 안구에 직접 설치했고 적은 수의 모터로 더 자연스러운 감정 표현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에버원은 여자 연예인 얼굴 2명을 합성해 수정하고 상반신도 연예인을 모델로 해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행사에는 에버원 외에 10종의 엔터테인먼트 로봇이 출연해 계단 오르기, 춤추기, 변신 등의 장기를 선보였다.
한국 2012년부터 로봇제품 해외 보급해 세계시장 선도 야심
산자부는 '에버원'을 토대로 인조인간 로봇을 내년중 상용화하겠다는 방침 아래 박물관, 백화점 등의 안내 서비스나 구연동화 등 교육분야 서비스에 활용하는 한편 로봇 개발 기술 중 일부를 응용, 영화 특수효과까지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시각 인식, 감성표현, 대화 성능 등이 강화된 시리즈를 개발해 나가기로 하고 연말께 '에버투(EveR-2)'를 내놓을 예정이다.
산자부는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 10월18~22일 서울 코엑스에서 로봇 전시회와 경진대회, 학술대회 등을 진행하는 국내 최초의 국제규모 로봇전문전인 '로보월드 2006'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행사에는 소방로봇, 감시로봇 등 새로 개발된 26종의 로봇이 선보이고 8백50여개팀이 참여한 로봇 경진대회가 벌어져 국내 로봇산업의 현주소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이날 주식시장에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인조인간 로봇이 선을 보였다는 소식에 야호, 유진로봇, 다스텍 등 로봇관련주들이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일본 2003년 첫 인조인간 개발 후 잇달아 신제품 내놓고 산업 선도
인조인간 로봇의 로봇(Robot)이란 말의 어원은 ‘일한다’라는 뜻의 체코어인 ROBOTA에서 유래했다. 체코슬로바키아 극작가 K 차페크가 희곡 <로섬의 인조인간>을 발표하며 로봇이 세계인들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이다.
이후 1927년 미국 웨스팅 하우스 전기회사 기사인 R J 웬즐리가 만든 <텔레복스>로 기계와 전기 기술을 활용해 전화응답 등 초보적인 기능을 수행했고, 이후 산업용, 의료용, 우주용, 해저용 로봇이 개발돼 산업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인조인간 로봇에서 가장 앞서가는 나라는 일본. 전세계에서 가동 중인 약 80만 대의 산업용 로봇 중에서 절반에 가까운 약 35만 대의 로봇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로봇의 약 60%를 생산하는 등 산업용 로봇 시장을 주도해 오고 있다.
일본은 엔터테인먼트 분야의 장난감 로봇과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인 이족 보행 로봇에서 상당한 기술력 인정을 받았으며, 일부 상품의 경우에 연구 수준에 이어서 시장화에 성공을 거두고 있다. 장난감 로봇의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1999년에 처음 출시된 소니의 강아지 로봇인 AIBO를 들 수 있으며, 이후 소니는 음성 인식 및 영상 인식 기능, 표현 능력 등을 차례로 향상시킨 제품을 출시했다.
일본 인조인간 로봇 연구의 세계적인 학자인 이시구로 히로시(石黑浩) 일본 오사카 대학 이시구로 히로시 교수는 지난해 말랑말랑한 실리콘 피부와 여러개의 센서와 모터를 갖춰 뒤를 돌아보거나 인간처럼 반응하고, 눈꺼풀을 깜빡이거나 손을 인간처럼 움직이고 숨쉬는 것처럼 보이는 여자 인조인간 로봇 ‘레플리 Q1'을 개발해 화제를 모았다.
국내에서는 KIST, LG전자 등이 다양한 로봇을 만들면서 기술력을 축적해왔다. 이라크 파병 당시에는 KIST가 만든 로페즈라는 로봇이 파견돼 우리장병들과 함께 임무를 무사히 수행하고 귀환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LG전자는 지난 2003년 3백만원대의 고가 청소로봇 `로보킹'을 선보인데 이어 1백만원대로 가격을 낮춘 후속기종 `로보킹 2'을 지난해 말 출시했다.
유진로보틱스도 30만원대 청소로봇 ‘아이클레보’을 판매하고 있으며 조만간 성능이 업그레이드 된 로봇을 시장에 내놓을 계획이다.
정부는 로봇산업 활성화의 1단계로 2007년까지 지능형 로봇육성을 위한 추진체제를 갖추고, 레고형 기술개발로 저가·고기능 로봇을 구현하는 등 핵심기술을 확보한 뒤, 2008년부터 2011년까지는 표준정립 및 플랫폼 보급으로 로봇기술을 대중화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이어 3단계인 2012년부터는 제품보급 및 확산을 통해 세계시장을 선도한다는 야심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