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속도전' 지시에 급급하다 백신접종 중단 참사"
국민의힘 "가짜뉴스 타령만...이게 '백신 절벽' 아니면 뭐냐"
이종배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우리 야당이 수없이 우려했던 백신 부족 사태가 현실로 나타났다"며 "불과 열흘 전, 문재인 대통령은 수급 불안보다는 백신을 적시에 속도감 있게 접종을 못 하는 것이 문제라면서 백신 속도전을 주문했다. 정부는 대통령의 하명대로 아랫돌 빼서 윗돌을 괴는 방식으로 2차 접종 비축분을 1차 접종 분으로 앞당겨 접종하면서 접종 성과 올리기에 급급했다. 그 결과 백신 물량이 접종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백신 1차 접종 중단이라는 예고된 참사로 이어졌다"고 질타했다.
이어 "홍남기 총리 대행은 어제도 '백신 접종은 방역당국이 계획한 대로 이뤄지고 있다'라며 강변했다. 백신 수급 중단이라는 진짜뉴스 앞에서도 여론 호도에만 급급한 정부의 가짜뉴스 타령에 어리둥절할 따름"이라며 "백번 양보해서 홍 총리 대행의 말이 모두 사실이라면 백신 부족으로 국민이 3주간 백신도 맞지 못하는 그런 상황을 보내는 것조차 정부의 계획안에 담겨있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비꼬았다.
그러면서 "정부의 백신 무능 앞에, 이제 국회의 코로나 백신 국정조사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며 "국회는 백신 국정조사를 통해서 백신 도입부터 앞으로의 수급계획, 11월 집단면역의 현실 가능성까지 낱낱이 밝혀 국민의 백신 불안을 해소시킬 의무가 있다"며 민주당에 국조 수용을 압박했다.
성일종 비대위원도 "방역당국이 현재 7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접종 중인 화이자 백신의 접종 예약을 자제해 달라고 일선 접종기관들에 요청했다"며 "그동안 야당과 언론이 그토록 줄기차게 걱정해 왔던 ‘백신 절벽’이 아니면 뭐라고 변명할 것인가"라고 가세했다.
그러면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차 접종과 2차 접종의 간격이 8주에서 12주로 긴 반면, 화이자 백신은 접종 간격이 3주로 짧은데 방역당국이 이런 특성도 고려하지 않고 제대로 된 계획도 없이 마구잡이로 접종을 추진한 결과가 이것"이라며 "그럼에도 지금 이 시간까지 정부여당은 이번 일에 대해 국민 앞에 사과 한마디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백신 확보를 제때 하지 못한 정부의 무능을 언제까지 덮으려 하는가"라고 반문한 뒤, "더이상 가짜뉴스 운운하며 국민을 속이지 마시고 백신의 도입 시기, 물량, 접종 스케쥴을 국민 앞에 구체적으로 밝혀주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국회 보건복지위 위원인 김미애 비대위원 역시 "우려됐던 ‘백신 보릿고개’가 현실화 된 것"이라며 "기가 막히는 것은 지금 대한민국에는 중앙정부가 백신 접종 관련해서 1개월 스케쥴 조차 제대로 짜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지방에서 기초자치단체별로 접종센터가 있는데 이곳에서도 어떻게 해야 할지 우왕좌왕이다. 따라서 접종 동의 후에 자신의 순번을 기다리는 국민들도 불안해서 우왕좌왕"이라고 개탄했다.
그는 백신 부작용에 대한 정부 대응과 관련해서도 "지난주 토요일 지역에서 만난 60대 부부는 '이 나이에 고혈압, 심장질환 등 기저질환 없는 사람이 얼마나 있겠냐'며 '부작용이 생기면 기저질환 핑계 대고 정부는 나 몰라라 한다'고 항의하셨다"며 "지금껏 정부의 태도는 한마디로 ‘부작용은 복불복’이라는 것이다. 접종 전 예진에서는 문제없다고 접종시키면서 기저질환 탓하는 것은 너무나 무책임한 처사"라고 비판했다.
김기현 대표권한대행 겸 신임 원내대표는 "하루도 지체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심각한 백신 구입에 야당도 적극 협력하겠다"며 "정부의 무능함을 당연히 따져 물어야 할 것이다. 그렇지만 그것과 동시에 부족한 백신 구입을 위해서 야당도 발 벗고 나서겠다. 백신 국회 사절단의 조속한 구성도 촉구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