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계동 의원, <경향신문> 융단폭격
"<경향신문>, 지번은 어떻게 알았나"
박계동 한나라당 의원이 10일 이명박 후보의 처남 김재정씨 및 이상은-이상득씨 부동산 의혹을 제기한 <경향신문>의 취재경위에 거듭 의혹을 제기하며 <경향신문>을 융단폭격했다.
한나라당 전략기획본부장이기도 한 박의원은 이날 오전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전날 국세청 방문 결과를 보고하며 "어제(9일) 국세청을 방문했더니 '발로 취재한 <경향신문>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했다"며 "<경향신문> 역시 '발로 뛴 기사에 보이지 않는 손을 들먹이는 것은 부당하다' '황당한 보수언론의 취재검증' '누구나 등기부등본을 뗄 수 있다' '등기부등본을 떼 보는데 50만원을 들였다'고 말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그게 과연 가능한 일인가 생각해 봤는데. 우선 국세청의 국세통합시스템 전산화 자료입력 시점이 82년인데 <경향신문>이 보도한 김재정씨 부동산 매입시점이 82년부터이다"라며 "국세청 자료가 유출됐다는 근거있는 의혹"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김혁규 열린우리당 의원이 기자회견을 한 후 김 의원 관계자가 '이명박 후보의 형 이상은씨와 처남 김재정씨의 부동산 관련 자료도 확보했다'고 했는데 이게 6월 12일이다"라며 "<경향신문>은 특별취재팀을 다섯 명이나 구성해 3주나 가동해 겨우 발표한 시점이 7월 2일과 7월 9일이다. 김혁규 의원은 20여일 전에 다 알고 있었는데 <경향신문>의 취재능력이 부족한 모양"이라고 비아냥대기도 했다.
그는 "<경향신문>의 말대로 제가 한 번 등기부등본을 떼 봤는데 되긴 되더라"며 "그런데 시간이 엄청 걸린다. 1천건을 떼어 본다는 것이 말이 안 된다. 확인하려면 필지의 지번이 정확히 들어가야 하는데 <경향신문>은 이걸 다 취재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어느 사람이 그걸 믿을 수 있나"라고 주장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말해 국세청, 국정원, 행자부 심지어는 금감원 등에 있는 개인정보 전산자료가 유출됐다고 보는 것"이라며 "그 유출이 특정 대선 관련한 TF팀에서 X파일화하고 출처에 대한 세탁과정을 거친 후 특정언론 보도를 통해 유포하고 야당후보 공격자료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나라당 전략기획본부장이기도 한 박의원은 이날 오전 주요당직자회의에서 전날 국세청 방문 결과를 보고하며 "어제(9일) 국세청을 방문했더니 '발로 취재한 <경향신문>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했다"며 "<경향신문> 역시 '발로 뛴 기사에 보이지 않는 손을 들먹이는 것은 부당하다' '황당한 보수언론의 취재검증' '누구나 등기부등본을 뗄 수 있다' '등기부등본을 떼 보는데 50만원을 들였다'고 말하고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그게 과연 가능한 일인가 생각해 봤는데. 우선 국세청의 국세통합시스템 전산화 자료입력 시점이 82년인데 <경향신문>이 보도한 김재정씨 부동산 매입시점이 82년부터이다"라며 "국세청 자료가 유출됐다는 근거있는 의혹"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김혁규 열린우리당 의원이 기자회견을 한 후 김 의원 관계자가 '이명박 후보의 형 이상은씨와 처남 김재정씨의 부동산 관련 자료도 확보했다'고 했는데 이게 6월 12일이다"라며 "<경향신문>은 특별취재팀을 다섯 명이나 구성해 3주나 가동해 겨우 발표한 시점이 7월 2일과 7월 9일이다. 김혁규 의원은 20여일 전에 다 알고 있었는데 <경향신문>의 취재능력이 부족한 모양"이라고 비아냥대기도 했다.
그는 "<경향신문>의 말대로 제가 한 번 등기부등본을 떼 봤는데 되긴 되더라"며 "그런데 시간이 엄청 걸린다. 1천건을 떼어 본다는 것이 말이 안 된다. 확인하려면 필지의 지번이 정확히 들어가야 하는데 <경향신문>은 이걸 다 취재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어느 사람이 그걸 믿을 수 있나"라고 주장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말해 국세청, 국정원, 행자부 심지어는 금감원 등에 있는 개인정보 전산자료가 유출됐다고 보는 것"이라며 "그 유출이 특정 대선 관련한 TF팀에서 X파일화하고 출처에 대한 세탁과정을 거친 후 특정언론 보도를 통해 유포하고 야당후보 공격자료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