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자 이막달 할머니 별세, 생존자 16명으로
해외에서 피해 증언 등 적극 활동
정의연에 따르면 1923년 경남 하동에서 태어난 이 할머니는 17세였던 1940년께 "좋은 곳에 취직시켜 주겠다"며 동행을 강요하는 일본인 2명을 따라갔다가 대만의 위안소에서 일본군 성노예로 피해를 당했다.
해방 후 부산으로 귀국한 이 할머니는 2005년 정부에 피해자로 정식 신고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시위에 참가하고 외국에서 자신의 피해를 증언하는 활동을 했고, 이후 줄곧 부산에서 거주했다.
빈소 등 자세한 정보는 할머니와 유족 뜻에 따라 공개하지 않는다고 정의연은 밝혔다.
이로써 한국 정부에 등록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17명에서 16명으로 줄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