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할머니 "문희상안 어처구니 없다. 집어치우라"
"일본한테 사과를 받아야 한다", 문희상안 질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이용수(92) 할머니는 6일 문희상 국회의장이 입법을 추진중인 세칭 '문희상 안(案)'에 대해 "들을 때는 몰랐는데 생각해보니 어처구니가 없고, 어처구니가 없다"고 비판했다.
이 할머니는 이날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강제동원 문제 해결방안에 관한 정책 토론회'에서 "문희상 의장을 만나보니 영어로 원 플러스 원(1+1+α)이라는 말을 하더라"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할머니는 이어 "국회의장 문희상은 그런 소리를 집어치우라고 분명히 하겠다"며 "나는 무엇으로 어떻게 한다 해도, 일본한테 사죄를 받아야 한다.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고 꾸짖었다.
이 할머니는 "뜯어보니 아무것도 없다"며 "원플러스원으로 해결을 한다고 하는데 그것으로 무얼 한다는 말인가"라고 목청을 높였다.
이 할머니는 그러면서 "나는 조선의 딸로 태어나 대한민국 국민이 됐다"며 "가난한 사람들이 두 번 다시 (나와 같은) 이런 일을 당하지 않게 하려면 무엇이든지 절대로 받지 말고 일본을 용서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희상 안'은 한일 양국 기업과 국민(1+1+α)이 자발적으로 낸 성금으로 '기억·화해·미래 재단'을 설립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위자료 또는 위로금을 지급하는 대신 향후 더이상 배상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는 방안이다. 당초는 위안부 할머니들도 포함시키려 했으나 할머니들이 강력 반발하자 배제하는 쪽으로 추진중이다.
이 할머니는 이날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강제동원 문제 해결방안에 관한 정책 토론회'에서 "문희상 의장을 만나보니 영어로 원 플러스 원(1+1+α)이라는 말을 하더라"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할머니는 이어 "국회의장 문희상은 그런 소리를 집어치우라고 분명히 하겠다"며 "나는 무엇으로 어떻게 한다 해도, 일본한테 사죄를 받아야 한다.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고 꾸짖었다.
이 할머니는 "뜯어보니 아무것도 없다"며 "원플러스원으로 해결을 한다고 하는데 그것으로 무얼 한다는 말인가"라고 목청을 높였다.
이 할머니는 그러면서 "나는 조선의 딸로 태어나 대한민국 국민이 됐다"며 "가난한 사람들이 두 번 다시 (나와 같은) 이런 일을 당하지 않게 하려면 무엇이든지 절대로 받지 말고 일본을 용서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희상 안'은 한일 양국 기업과 국민(1+1+α)이 자발적으로 낸 성금으로 '기억·화해·미래 재단'을 설립해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위자료 또는 위로금을 지급하는 대신 향후 더이상 배상문제를 거론하지 않는다는 방안이다. 당초는 위안부 할머니들도 포함시키려 했으나 할머니들이 강력 반발하자 배제하는 쪽으로 추진중이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