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8, "6자회담 통해 북핵 조속히 해결해야"
"北, 핵-미사일 프로그램 전면 폐기해야"
주요 선진국 모임인 G8 정상들이 6자회담을 통한 북핵문제 해결을 지지한다며 북한에 대해 핵 및 미사일 프로그램의 전면 폐기를 촉구했다.
"북핵실험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명백한 위협'"
9일 <로이터통신> <AP통신>에 따르면 독일 하일리겐담에서 열린 G8 정상회담에 참석한 주요국 정상들은 회담 마지막 날인 8일(현지시간) 6자회담 틀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지지의 뜻을 밝히고 아울러 북한의 조속한 2.13 합의 이행을 촉구했다.
주요 7개 선진국(G7)과 러시아가 참여하고 있는 G8 정상들은 이날 폐막과 함께 발표한 공동성명을 통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에 대한 명백한 위협인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한다"며 "(북한은) 핵무기와 핵계획뿐 아니라 대량살상무기(WMD), 탄도미사일을 완전하고, 증명할 수 있는 그리고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폐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작년 10월 실시된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명백한 위협'이 된 조치였다"며 "북한 정부가 향후 유사한 실험을 실시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북한의 핵개발을 "도저히 용인할 수 없다"고 밝힌 뒤, "다른 G8 국가들이 북한에 대해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며 이날 공동성명을 주도했다.
G8 정상들은 이밖에 이란핵 문제에 대해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하며, 이란에 대한 유엔 안보리 추가 제재를 지지하기로 합의했다.
부시 반대로 온난화 방지 원칙적 합의만 도출
한편 G8 정상들은 이번 회담을 통해 최우선 의제로 꼽힌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해 원칙적 합의만 이뤘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의 의장국인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회담 시작 전 오는 2050년까지 주요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 수준의 50%까지 줄이자고 제안했으나, 교토의정서 비준을 거부하며 온실가스 배출량 의무 규제에 반대해온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도 의무 규제에 대한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결국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이 규제돼야 하는 데는 동의하면서도 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의무화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을 고수한 미국의 반대로 이번 회담에서도 구체적인 감축 목표치에 대한 합의는 실패로 돌아갔지만, 미국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추가 논의를 받아들이기로 한 것은 이후 협상을 위한 성과로 꼽혔다.
최종 합의문에는 구체적인 수치 대신 유럽연합(EU)과 일본, 캐나다가 제안한 2050년까지 온실가스 50% 감축 방안을 신중하게 고려하자는 내용이 담았고, 개발도상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도 규제돼야 한다는 문구도 포함됐다.
이밖에 이번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은 7일 부시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중앙아시아의 아제르바이잔에 공동 MD기지를 건설하자고 제안한 데 이어 이날 터키, 이라크는 물론 해상에 MD기지를 구축하는 것도 수용하겠다고 밝히는 등 미국의 MD 추진에 공세를 제기했고, 다음달 1~2일 미국 메인주 케네스벙크포트에서 열리는 미·러 정상회담에서 MD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G8 정상들은 또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말라리아, 결핵 등 아프리카 전염병 퇴치를 위해 6백억달러를 투입하기로 합의하고, 이 중 절반인 3백억달러는 미국이 부담하기로 했다.
"북핵실험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명백한 위협'"
9일 <로이터통신> <AP통신>에 따르면 독일 하일리겐담에서 열린 G8 정상회담에 참석한 주요국 정상들은 회담 마지막 날인 8일(현지시간) 6자회담 틀을 통한 북핵 문제 해결에 대한 지지의 뜻을 밝히고 아울러 북한의 조속한 2.13 합의 이행을 촉구했다.
주요 7개 선진국(G7)과 러시아가 참여하고 있는 G8 정상들은 이날 폐막과 함께 발표한 공동성명을 통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보에 대한 명백한 위협인 (북한의) 핵실험을 비난한다"며 "(북한은) 핵무기와 핵계획뿐 아니라 대량살상무기(WMD), 탄도미사일을 완전하고, 증명할 수 있는 그리고 되돌릴 수 없는 방식으로 폐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작년 10월 실시된 북한의 핵실험은 국제 평화와 안보에 대한 '명백한 위협'이 된 조치였다"며 "북한 정부가 향후 유사한 실험을 실시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북한의 핵개발을 "도저히 용인할 수 없다"고 밝힌 뒤, "다른 G8 국가들이 북한에 대해 명확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며 이날 공동성명을 주도했다.
G8 정상들은 이밖에 이란핵 문제에 대해 기존 입장을 거듭 강조하며, 이란에 대한 유엔 안보리 추가 제재를 지지하기로 합의했다.
부시 반대로 온난화 방지 원칙적 합의만 도출
한편 G8 정상들은 이번 회담을 통해 최우선 의제로 꼽힌 기후변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배출 규제에 대해 원칙적 합의만 이뤘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의 의장국인 독일의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회담 시작 전 오는 2050년까지 주요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 수준의 50%까지 줄이자고 제안했으나, 교토의정서 비준을 거부하며 온실가스 배출량 의무 규제에 반대해온 미국의 부시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도 의무 규제에 대한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결국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 온실가스 배출이 규제돼야 하는 데는 동의하면서도 배출량 감축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의무화하는 것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주장을 고수한 미국의 반대로 이번 회담에서도 구체적인 감축 목표치에 대한 합의는 실패로 돌아갔지만, 미국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추가 논의를 받아들이기로 한 것은 이후 협상을 위한 성과로 꼽혔다.
최종 합의문에는 구체적인 수치 대신 유럽연합(EU)과 일본, 캐나다가 제안한 2050년까지 온실가스 50% 감축 방안을 신중하게 고려하자는 내용이 담았고, 개발도상국들의 온실가스 배출량도 규제돼야 한다는 문구도 포함됐다.
이밖에 이번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은 7일 부시 대통령과 만난 자리에서 중앙아시아의 아제르바이잔에 공동 MD기지를 건설하자고 제안한 데 이어 이날 터키, 이라크는 물론 해상에 MD기지를 구축하는 것도 수용하겠다고 밝히는 등 미국의 MD 추진에 공세를 제기했고, 다음달 1~2일 미국 메인주 케네스벙크포트에서 열리는 미·러 정상회담에서 MD 논란이 이어질 전망이다.
G8 정상들은 또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AIDS), 말라리아, 결핵 등 아프리카 전염병 퇴치를 위해 6백억달러를 투입하기로 합의하고, 이 중 절반인 3백억달러는 미국이 부담하기로 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