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김용갑 주장, 야당 온 데 대한 불만인듯”
김용갑의 공세에 조목조목 반박
김종인 위원장은 이날 김용갑 고문의 주장에 대해 이같이 반박하며 "남재희 전 의장은 경제민주화 조항이 ‘김종인 조항’이라고 여러 차례 기고문까지 쓴 적이 있다. 더 이상 구구절절 답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고 김성수 대변인은 전했다.
그는 또한 김 고문이 "당시 김종인은 ‘적극적인 참여 의사가 있는 인사 명단’에 포함돼 있었다고 고 이춘구 전 신학국당 대표로부터 들었다. 당시 국보위에 부가가치세 폐지 계획이 없었다”고 주장한 데 대해서도 “당시 육군 중령인 국보위 재무위원장의 보좌관이 와서 부가세 폐지 문제에 대한 입장을 정리해달라고 해서 국보위에 가게 된 것”이라며 국보위가 부가세를 폐지하려 했음을 분명히 했다.
실제로 당시 전두환 군부는 쿠데타후 박정희 정권이 붕괴하게 된 핵심요인중 하나로 1977년 7월 도입된 부가가치세를 꼽았다. 오일쇼크로 경제가 휘청거리는 가운데 부가세 도입으로 세금까지 폭등하자 부마 사태에 시장상인들이 대거 합류하면서 결국 정권이 쓰러지게 됐다고 분석한 것. 전두환 군부는 이에 부가세 도입을 주도한 김용환 당시 재무장관을 비롯해 이헌재, 이한구, 김중웅 등 재무부 과장들을 모두 옷벗기는 동시에 부가세 폐지를 검토했었다.
김 위원장은 또 자신이 국보위에 적극 참여했다는 김 고문 주장에 대해서도 “당시 이춘구 전 대표는 국보위 재무위원회 간사를 맡았는데, 국보위에 가보니까 이 전 대표가 간사로 있더라”라며 자신의 국보위 참여와 이 전 대표는 전혀 관련이 없음을 강조했다.
그는 김용갑 고문이 이처럼 팩트와 다른 공세를 편 이유에 대해선 “내가 야당 비대위원장으로 온 데 대한 불만 때문이 아닌가 싶다”고 일축했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