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검색 바로가기

김무성측, 靑의 5대 문제점 비판에 조목조목 반박

"靑, 사실관계 왜곡 말라", "안심번호 부작용은 기우"

김무성 대표의 비서실장인 김학용 새누리당 의원은 1일 청와대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의 5가지 문제점을 지적한 데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며 반격에 나섰다.

김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우선 민심왜곡과 역선택 우려와 관련, "오히려 안심번호가 역선택과 민심왜곡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이다. 여론조사를 시작하기 전 어느 당 지지자인지를 먼저 묻고, 여야가 같은 날 동시에 여론조사 등을 실시한다면 역선택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며 "기술적으로 1인 1표의 원칙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 다수의 의견"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소규모 선거인단을 구성할 경우에는 상대당 지지자가 일부러 참여해서 민심을 왜곡할 수 있으나 새누리당안 처럼 2만개 이상의 대규모 샘플을 활용할 경우 일부 상대당 지지자가 응답하더라도 민심 왜곡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덧붙였다.

그는 낮은 응답률 우려에 대해선 "기존 전화여론조사의 경우 지역과 성별 등을 묻는 절차가 필수적이다 보니 응답률이 떨어지나 휴대전화 안심번호를 활용한 여론조사는 중앙선관위를 거쳐 지역별, 성별, 연령별 샘플을 바탕으로 실시하기 때문에 이 같은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응답률이 훨씬 높다"며 "응답자의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부담이 없어 응답률은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고비용 우려에 대해선 "선관위에 따르면 유권자의 10%인 400만 명이 직접 참여하는 오픈프라이머리의 경우 356억이 소요된다고 밝힌 바 있으나 안심번호 여론조사 방식을 활용할 경우 선관위가 분석한 결과 한 지역에 1천만원 정도 소요되어 그 비용은 비교하기 힘들 정도로 줄어든다"고 일축했다.

그는 안심번호 공천제가 여론조사일 뿐이란 비판에 대해서도 "전화여론조사와 현장투표와 다르지만, 민의의 반영이라는 면에서는 동일하다"면서 " 안심번호 여론조사 경선은 비용과 참여의 편의성, 투표인단의 신상 비밀 보장, 무엇보다 다수 국민의 참여를 보장한다는 측면에서 민의를 공정하게 반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김무성 대표가 독단적으로 합의했다는 주장에 대해선 "이미 새누리당 당론으로 국민에게 공천권을 돌려드린다는 취지에서 국민공천을 의결하였으며 그 방향에 입각해서 김무성 대표가 야당 대표를 만나 실현 방안에 대해 협의한 것"이라며 "또한 여야 대표의 발표 내용도 이제까지 당에서 연구되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세부적인 방안은 당의원총회를 거쳐 추인을 받고, 정개특위에서 여야 합의로 의결해야 하므로 추후에 내부적인 절차를 거칠 수 있다"고 일축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이렇듯 청와대 관계자의 성급한 언급은 사실관계를 왜곡하고 있어 매우 부적절하고 옳지 않다"며 "특히 안심번호는 2012년 대선 후보 경선 당시 공정한 경선을 위해 도입되어 박근혜 대통령이 당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안심번호를 폄하하는 것은 논리적으로도 맞지 않다"고 힐난했다.
심언기 기자

관련기사

댓글이 0 개 있습니다.

↑ 맨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