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황선순 할머니 별세. 생존자 54명
정대협 "늘 정이 많고 따뜻한 분이셨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황선순 할머니가 26일 향년 89세로 별세했다.
이로써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중 생존자는 모두 54명으로 줄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따르면, 황 할머니는 이날 오전 8시께 전남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1926년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난 황선순 할머니는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남동생과 살다 17살 때 부산에 있는 공장에 취직시켜주겠다는 남자의 거짓말에 속아 따라갔다가, 부산과 일본을 거쳐 남태평양의 작은 섬 나우루에 있는 위안소에 동원돼 전쟁이 끝날 때까지 약 3년간 일본군 위안부로 갖은 고초를 겪었다.
정대협은 "해방 후 고향으로 돌아와 오랜 시간 지독한 가난과 대상포진과 뇌경색, 당뇨 등 여러 질병으로 힘든 삶을 사셨던 할머니는 그럼에도 늘 정이 많고 따뜻한 분이셨다"면서 "하루속히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어 할머니들이 조금이라도 더 편안하게 노년의 생을 보낼 수 있도록 함께 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고인의 빈소는 전남의 한 병원에 마련됐으며 영결식은 유가족의 뜻에 따라 28일 비공개로 엄수된다.
이로써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중 생존자는 모두 54명으로 줄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 따르면, 황 할머니는 이날 오전 8시께 전남의 한 병원에서 노환으로 별세했다.
1926년 전라남도 장성에서 태어난 황선순 할머니는 부모님을 일찍 여의고 남동생과 살다 17살 때 부산에 있는 공장에 취직시켜주겠다는 남자의 거짓말에 속아 따라갔다가, 부산과 일본을 거쳐 남태평양의 작은 섬 나우루에 있는 위안소에 동원돼 전쟁이 끝날 때까지 약 3년간 일본군 위안부로 갖은 고초를 겪었다.
정대협은 "해방 후 고향으로 돌아와 오랜 시간 지독한 가난과 대상포진과 뇌경색, 당뇨 등 여러 질병으로 힘든 삶을 사셨던 할머니는 그럼에도 늘 정이 많고 따뜻한 분이셨다"면서 "하루속히 일본군'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어 할머니들이 조금이라도 더 편안하게 노년의 생을 보낼 수 있도록 함께 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고인의 빈소는 전남의 한 병원에 마련됐으며 영결식은 유가족의 뜻에 따라 28일 비공개로 엄수된다.
<저작권자ⓒ뷰스앤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